발목잡기 프레임 해소…대선 때 심판론ㆍ견제론 극대화 노림수

미래통합당이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18개 상임위원장을 다 가져가라며 공을 넘긴 것을 두고 여러 정치적 셈법이 깔린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
단기적으로는 원구성 협상용으로 읽힌다.

야당 몫이었던 법제사법위원장 지키기에 나머지 모든 위원장 자리를 걸겠다는 벼랑 끝 승부수란 얘기다.

법사위란 '게이트키퍼'를 끝내 내주는 최악의 상황을 맞는다고 해도 오히려 반전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여당의 상임위원장 독점은 거대여당의 오만과 독주로 민심에 투영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아울러 야당에 덧씌워진 '발목잡기' 굴레에서 자동으로 벗어나면서 국정 운영에 대한 정치적 부담을 전적으로 여당에 지울 수 있다는 게 전략통들의 분석이다.

당 관계자는 22일 "앞으로 여권 입장에선 경제부터 북한 문제까지 호재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제 국정이 안 풀리는 것을 더는 야당 탓으로 돌릴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상임위원장 다 가져라"는 야당, 속내는 대선?
내부적으로는 "함께 밟히는 모습"으로 결속을 다지고 대여 투쟁 대오를 단단히 구축하겠다는 의도가 읽힌다.

총선 참패 이후 들어선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주호영 원내대표 '투톱' 체제의 당내 입지를 강화하고 '야성'을 극대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도 나온다.

일부에선 '다 가져가라'는 승부수가 대선 전략의 일환이라는 얘기도 돌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20일 주 원내대표와 만나 국회 복귀를 설득하면서 "상임위원장을 놓고 협상하지 말고 민주당이 다 가져가게 하고, 그렇더라도 우리 상임위원들은 제대로 역할을 하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반기 상임위원장을 내어주고, 2년 뒤 정권으로 돌려받겠다는 백전노장의 '큰 그림'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 중진 의원은 "우리 국민이 가장 경계하는 것은 쏠림과 독주"라며 "행정, 사법부를 장악한 가운데 이번에 초유의 의회 독식이 이뤄진다면 대선을 앞두고 견제론과 심판론이 극대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