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장이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상경제대책본부 일자리 고용 태스크포스(TF) 토론회에 참석해 자리에 앉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장이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상경제대책본부 일자리 고용 태스크포스(TF) 토론회에 참석해 자리에 앉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의 차기 유력 대권주자인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당권 도전을 사실상 공식화하면서 대권을 향한 1차 시험대에 올랐다. 홍영표·우원식 의원에 더해 ‘영남의 기수’로 불리는 김부겸 의원까지 당권 레이스에 뛰어들기로 하면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이 전 총리가 당대표에 당선되더라도 임기 동안 대선 주자로서의 역량을 인정받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당내 기반 확보가 관건

이 전 총리는 28일 서울 여의도동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사무실에서 열린 민주당 당선자 초청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전당대회 출마 의사를 재차 밝혔다. 그는 출마 이유에 대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국가적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고 경제 회생을 빨리 실현할 것인가 하는 것”이라며 “그런 일을 외면하는 것이 옳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 전 총리가 이번 전당대회에서 마주할 첫 과제는 당내 기반 확보다. 이개호 의원과 설훈 의원 등 호남 혹은 동교동계를 기반으로 하는 인사 일부와 21대 총선을 계기로 이 전 총리와 접촉면을 늘린 일부 초·재선 의원을 제외하면 민주당 내에 이낙연계로 분류되는 인사는 많지 않다. 이 전 총리의 당권 도전을 주장해온 측근들은 전대 과정에서 세를 결집하고 당선 이후 확고한 ‘이낙연의 사람’을 만들어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워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총리의 경쟁자는 ‘친문’(친문재인) 대표주자인 홍영표 의원과 당내 개혁그룹인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의 핵심 우원식 의원 등이다. ‘지역주의 타파’의 아이콘으로 꼽히는 잠재 대권 후보 김부겸 의원도 이번 전대에서 당권 도전을 타진하고 있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이 전 총리가 당대표가 되더라도 친문과 민평련, 영남의 지지를 모두 확보하는 과제가 남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년 시한부 대표’에 그칠 듯

이 전 총리가 경선에서 승리하더라도 당대표로 있을 기간은 6개월 남짓에 불과하다. 민주당 당헌에 규정된 당권·대권 분리 원칙에 따라 2022년 3월 대선에 도전하려면 1년 전에는 당대표직을 내려놔야 한다.

이에 일부 이낙연계 의원을 중심으로 ‘이해찬 대표 체제에서 당헌·당규를 손봐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이해찬 대표는 이 같은 주장에 “원칙대로 해야 한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전임 지도부가 이 전 총리에게 불리한 조항을 손보는 것이 선거 공정성을 해친다는 이유에서다.

이번 전대에서 선출될 최고위원과 신임 당대표가 지명하는 최고위원들의 임기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점도 부담이다. 현재 당내에서는 ‘당대표가 그 직을 내려놓고 그다음 대표가 선출될 때 선출직 최고위원을 비롯한 지도부를 모두 다시 뽑아야 한다’는 주장과 ‘당대표의 임기와 별개로 최고위원들은 임기를 보장받는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민주당은 외부기관에 당헌 해석을 의뢰해 답을 기다리는 중이다.

“기존 총리 이미지 벗어나야”

이 전 총리가 기존 ‘총리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탈피하느냐 여부도 차기 대권 주자로서 역량을 가늠할 주요 척도가 될 전망이다. 꼼꼼한 성격과 특유의 언변으로 총리로서 능력을 인정받아 존재감을 드러냈지만 당대표와 차기 대권 주자로서는 이와 사뭇 다른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이 때문에 이 전 총리의 당권 도전을 만류해온 일부 측근은 이 전 총리가 당대표로서 지는 위험이 얻을 실익보다 크다고 봤다. 4·15 총선 직후 고공행진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당의 지지율이 집권 후반기로 접어들며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이 같은 관측에 힘을 보탰다.

여권 관계자는 “당대표는 먼저 나서 당의 입장을 정하고 앞장서서 목소리를 내야 하는 자리”라며 “대통령의 말과 당론을 체화해 적절하게 말하는 걸 잘 해온 이 전 총리의 스타일은 이와 다르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차기 대권 주자 지지도에서 1위를 달리는 이 전 총리지만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면 한계에 부딪힐 우려가 있다”고 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