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대나무 숲 1ha서 이산화탄소 연간 33.5t 흡수"
대나무 920그루, 4인 가족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 상쇄한다
대나무 숲 1ha(6천200그루)에서 연간 33.5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이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는 나무인 소나무 9.7t, 상수리나무 16.5t, 벚나무 9.5t 등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대나무 한그루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연간 5.4㎏으로, 대나무 922그루가 있으면 4인 가족 한 가구의 이산화탄소 연간 배출량 4.98t을 상쇄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대나무 숲 2만2천ha가 분포돼 있으며, 이는 4인 가구 기준 15만 가구의 온실가스를 상쇄하는 양이다.

안양시 전체 인구(56만7천명) 이상이 가정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상쇄할 수 있다.

대나무는 온실가스 흡수 외에 피톤치드를 다량 방출해 항염, 항균, 스트레스 조절 등 인체에 다양한 건강효과를 제공한다.

화장품과 피부미용 소재, 전통 생활 소가구, 인테리어·조경용 소재, 관광산업 등에도 활용된다.

손영모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장은 "대나무는 이산화탄소 저감효과뿐만 아니라 연간 바이오매스 생산량도 일반 수종보다 3∼4배 많다"며 "화석연료를 대체할 바이오에너지로도 활용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