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2천명 인체유래물 분양…"보건의료 경쟁력 향상"
국립보건연구원, 연구자들에게 인체자원 공개분양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은 그동안 수집한 3만2천명의 인체자원을 연구자들이 분양받아 연구에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다고 28일 밝혔다.

인체자원이란 혈액, 소변, 수술 후 제거한 조직 등 사람 몸에서 나오는 물질(인체유래물) 등과 나이, 성별 등 연구에 필요한 기증자의 정보를 통틀어 말한다.

ADVERTISEMENT

이번에 공개된 인체자원은 7개 국가연구개발과제에서 생산된 약 2만5천명의 인체자원과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이 자체적으로 수행한 6개 사업을 통해 수집한 약 7천명의 인체자원이다.

이 가운데는 전신성홍반성루푸스 등 희귀질환, 만성질환, 감염질환 등의 질환자원과 국민건강 영양조사 참여자들로부터 수집된 일반인 인체자원이 포함됐다.

분양 대상 자원은 인체유래물 약 25만 바이알(유리용기) 분량이며 진단정보, 생활습관, 약물투여 등 과제에 따라 최대 1천600여 변수의 정제된 임상역학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ADVERTISEMENT

인체자원 분양은 질병관리본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온라인분양데스크(http://is.cdc.go.kr)에서 신청하면 된다.

인체자원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국립인체자원은행 홈페이지(http://koreabiobank.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은 2019년 말 기준 누적 880여개 연구과제에 대해 인체유래물 약 62만바이알을 분양했다.

ADVERTISEMENT

이와 관련해 500여편 이상의 논문과 28건의 특허가 나왔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장(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장)은 "대규모 인체자원이나 희귀질환 등 민간영역에서 수행하기 힘든 인체자원의 수집과 분양을 확대해 국내 보건의료 연구개발(R&D)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