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6000억원대 피해액이 발생한 라임자산운용 사태의 전주(錢主)이자 정관계 로비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수원여객의 회삿돈 241억원을 빼돌린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26일 오후 경기도 수원남부경찰서 유치장에서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조6000억원대 피해액이 발생한 라임자산운용 사태의 전주(錢主)이자 정관계 로비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수원여객의 회삿돈 241억원을 빼돌린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26일 오후 경기도 수원남부경찰서 유치장에서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조6000억원대 환매중단 사태를 빚은 이른바 '라임 사태'의 몸통으로 알려진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구속됐다.

26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수원지법은 이날 오후 7시50분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횡령) 혐의를 받고 있는 김 전 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맡은 한웅희 판사는 "증거인멸 및 도주 우려가 있다"라며 영장 발부 사유를 밝혔다.

앞서 김 회장은 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위해 경기 수원남부경찰서 유치장을 나오면서 모습을 드러냈다.

김 회장은 "청와대 행정관에게 돈을 준 사실을 인정하는가", "라임 사태에 관한 검사 정보 외에 어떤 로비를 했는가", "라임 사태 피해자들에게 한마디 해달라"는 등 쏟아지는 취재진 질문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은 채 호송차에 올라 수원지법으로 이동했다.

김 회장은 경기도 버스업체 수원여객의 회삿돈 241억원을 빼돌린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를 받고 있다.

그는 지난해 12월 이 사건으로 구속영장이 청구되자 잠적해 도피 행각을 이어왔으나 지난 23일 서울 성북구에서 경찰에 붙잡혔다.

다만 한 판사가 발부한 구속영장은 영장 청구 혐의인 수원여객 회삿돈 횡령 사건에 한정돼 있다.

김 회장은 수원여객 회삿돈 횡령 사건 이외에도 이종필 전 라임 부사장과 함께 라임 사태를 일으킨 핵심 인물로 꼽힌다.

김 회장은 지난해 고향 친구 사이로 알려진 김 모 전 청와대 경제수석실 행정관에게 4900만원에 달하는 뇌물을 건네고 라임 사태에 관한 검사 관련 정보를 입수한 혐의와 자신이 실소유한 상장사 스타모빌리티의 회사 자금 517억원을 횡령한 혐의, 재향군인회상조회를 인수한 뒤 300억원대 고객 예탁금을 빼돌린 혐의 등도 받고 있다.

지난해 초부터 수원여객 회삿돈 횡령 사건을 수사해 온 경찰은 김 회장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한 뒤 사건을 검찰에 송치할 예정이다. 이후 라임 사태를 수사 중인 서울남부지검이 김 회장을 넘겨받아 관련 조사를 이어갈 전망이다.

한편 김 회장과 함께 경찰에 붙잡힌 이 전 부사장은 수원여객 회삿돈 횡령 사건과는 무관해 검거 직후 서울남부지검으로 넘겨졌으며 25일 구속됐다.

조준혁 한경닷컴 기자 pressc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