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병산서원 건너편 문화재 구역만 일부 소실"
안동 산불 문화재 피해 없어…세계유산 병산서원도 안전
26일 오후 사실상 진화된 안동 산불이 축구장 면적 1천100배가 넘는 산림을 태웠으나, 문화재 피해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문화재청은 이날 "24일 안동 지역에서 발생해 26일 진화 완료된 산불로 인한 문화재 피해는 없었다"며 "병산서원도 건축물은 안전하다"고 밝혔다.

다만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인 병산서원(屛山書院)은 건너편 병산까지 문화재구역으로 지정됐는데, 병산 수목 일부가 소실된 것으로 파악됐다.

산불 발생 지점에서 멀지 않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병산서원과 하회마을은 별다른 피해를 보지 않았다.

산불은 서풍을 타고 동쪽으로 이동해 북서쪽 낙동강 건너편에 있는 이 문화재들에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문화재청은 지난 2005년 불똥이 강풍을 타고 날아가 새로운 산불을 만드는 '비화'(飛火)로 강원도 양양 낙산사가 화마에 휩싸인 경험이 있어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방재 활동을 펼쳤다.

문화재청은 24일부터 안전상황실을 운영하고, 경상북도·안동시 등과 협력해 소방차 2대와 인력 30명을 현장에 배치했다.

이어 25일 이후에는 산불이 병산서원 코앞 건너편 산림까지 번지자 헬기 등을 동원해 서원 주변에 여섯 차례 물을 뿌렸다.

대기하는 소방차는 5대, 인력은 45명으로 늘렸다.

아울러 산불이 서원 근처까지 오면 현판 등 동산문화재를 옮기는 방안을 검토했다.

다행히 이전 조치는 하지 않았다.

안동 산불 문화재 피해 없어…세계유산 병산서원도 안전
세계유산 2관왕인 병산서원은 서애 류성룡(1542∼1607)을 배향했다.

류성룡이 1572년 풍산류씨 교육기관인 풍악서당을 서원 자리로 옮겼고, 후학들이 1613년 서당 뒤편에 류성룡을 모신 사당인 존덕사(尊德祠)를 지으면서 서원이 됐다.

사액(賜額·임금이 이름을 지어 새긴 편액을 내리는 일)은 건립 250년 뒤인 1863년에야 이뤄졌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문화재구역의 수목 피해 규모를 면밀히 파악해 안동시와 함께 복구 작업을 하려고 한다"며 "문화재 방재 인프라를 지속해서 확충하고, 기술적·제도적 문제점을 보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