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시설 용지, 폐기물 매립장 등 조성하려 울산시와 비공개 추진
"녹지 없애면 오염물질 도심 유입 가속화…사업성 치중한 졸속 발상" 지적
'완충녹지 없애고 공단 넓혀?' 산단공, 사업 추진 논란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울산 온산국가산업단지 공해 완충녹지를 없애고, 그 자리에 대규모 산업단지와 폐기물 매립장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심과 산업단지를 분리하는 완충녹지가 없어지면 일대 환경 오염이 가속화하고 시민 건강권도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6일 산단공과 울산시에 따르면 두 기관은 온산공단 확장을 통해 산업시설 용지를 넓히고 폐기물 매립장을 조성하는 사업을 협의하고 있다.

다만 공단 확장 규모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산단공과 시는 "아직 검토 단계일 뿐, 확정된 내용이 없다"는 이유를 들어 사업개요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취재 결과 두 기관이 검토한 여러 개발안 중에는 울주군 온산읍 학남리 일원 155만㎡를 확장하고, 이 가운데 3분의 1가량인 50만㎡를 폐기물 매립장으로 조성한다는 방안이 포함됐다.

이런 매립장 규모는 현재 울산·온산 국가산단에서 발생하는 사업장폐기물 처리용량을 기준으로 30년 이상 매립할 수 있는 수준이다.

산업시설 용지로 조성되는 66만㎡에는 수소 생산, 수소연료전지 제조, 수소자동차 부품 등 시가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수소 특화 업종 유치가 유력하다.

문제는 산단공이 현재 여유 부지가 없는 온산공단을 확장하고자, 오염물질 차단 기능을 하는 완충녹지를 없애는 손쉬운 방안을 추진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산단공은 시에 보전용지를 공업용지로 전환하는 도시기본계획 변경, 산업단지 개발계획 변경에 대한 행정 지원 등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완만한 산지로 형성된 해당 완충녹지는 나무가 울창하고 빽빽해 공단에서 발생하는 공해물질의 시가지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인근에서 진행 중인 일반산단 조성사업과 함께 추진되면, 온산공단을 둘러싸는 완충녹지가 거의 모두 사라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국가산단을 조성·관리하는 공기업인 산단공이 사업성과 편의성에 치중, 환경에 대한 고려 없이 완충녹지를 없애고 공단을 넓히려 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온산읍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국가산단 조성으로 수익을 내는 산단공과 부족한 폐기물 매립장 문제를 해결하려는 울산시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러나 공해 차단을 위한 유일한 저지선인 완충녹지를 없애는 발상이 지나치게 안이하고, 실제 사업이 실현되면 인근 거주지뿐 아니라 도심 일원으로도 공해 물질 유입이 급증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산단공 관계자는 "온산공단 확장을 위한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인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결정되거나 구체화한 내용은 없다"라면서 "다만 단순히 수익성이나 편의 때문에 공단을 확장하는 것은 아니며, 산업단지 조성이 가능한 후보지와 자치단체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