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 페트병, 따로 배출하세요"…서울·부산 등서 시범사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하반기 전국 아파트·다세대 주택으로 확대
고품질 재생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투명 페트병을 일반 플라스틱과 별도로 배출하는 사업이 이달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범 시행된다.
환경부는 '무색 폐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시범사업'을 이달부터 서울, 부산, 천안, 김해, 제주, 서귀포 등 6개 지방자치단체에서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5일 밝혔다.
음료, 먹는 샘물용으로 쓰이는 무색·투명 페트병은 의료용 섬유 등 고품질 재생 원료로 재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유색 페트병이나 다른 플라스틱과 함께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섞여 재생 원료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다.
정부는 시범 사업 기간에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등 공동주택과 거점 수거 시설에 투명 폐페트병 별도 수거함을 설치하고, 단독 주택에는 투명 페트병을 따로 담아 배출할 수 있는 투명 봉투를 배부해 각 가정에서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부산, 천안, 김해, 제주, 서귀포는 이달 1일부터 분리배출 시행에 들어갔다.
서울은 25개 자치구에서 준비 여건에 따라 이달 중순부터 점차 시행할 계획이다.
시범 사업 성과를 분석한 후 정부는 폐페트병 분리배출 사업 대상을 올해 하반기 전국 공동 주택, 내년에는 전국 단독 주택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시범사업과 함께 정부는 폐비닐, 폐페트병 재활용 체계도 전반적으로 다시 들여다볼 방침이다.
이후 지역별 페트병 별도 요일 배출제, 수거 전용 차량 도입 여부 등 다양한 분리 배출·수거 방법을 도출하기로 했다.
한편 정부는 스파클, 한국청정음료, 동천수, 산수음료 등 음료업체와 함께 폐페트병을 자체 유통망으로 역회수하는 내용의 업무협약도 이달 중으로 체결한다.
고객이 생수나 음료를 온라인 주문할 때 '페트병 회수'를 요청하면서 문 앞에 폐페트병을 내놓을 경우 판매 업체가 신제품을 배송하면서 폐페트병을 다시 가져가는 방식이다.
환경부는 시범 사업, 민관 재활용 협력 사업 등으로 국내에 투명 폐페트병 분리배출이 정착되면 현재 연간 2만2천t에 달하는 폐페트병 수입이 줄고, 2022년 연 10만t에 달하는 국내 폐페트병을 의료용 섬유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아울러 점진적으로 폐페트병 수입도 제한한다는 방침이다.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국내 폐페트병의 재활용 품질을 높여 수입 폐기물 제로화를 달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환경부는 '무색 폐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시범사업'을 이달부터 서울, 부산, 천안, 김해, 제주, 서귀포 등 6개 지방자치단체에서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5일 밝혔다.
음료, 먹는 샘물용으로 쓰이는 무색·투명 페트병은 의료용 섬유 등 고품질 재생 원료로 재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유색 페트병이나 다른 플라스틱과 함께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섞여 재생 원료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다.
정부는 시범 사업 기간에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등 공동주택과 거점 수거 시설에 투명 폐페트병 별도 수거함을 설치하고, 단독 주택에는 투명 페트병을 따로 담아 배출할 수 있는 투명 봉투를 배부해 각 가정에서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부산, 천안, 김해, 제주, 서귀포는 이달 1일부터 분리배출 시행에 들어갔다.
서울은 25개 자치구에서 준비 여건에 따라 이달 중순부터 점차 시행할 계획이다.
시범 사업 성과를 분석한 후 정부는 폐페트병 분리배출 사업 대상을 올해 하반기 전국 공동 주택, 내년에는 전국 단독 주택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시범사업과 함께 정부는 폐비닐, 폐페트병 재활용 체계도 전반적으로 다시 들여다볼 방침이다.
이후 지역별 페트병 별도 요일 배출제, 수거 전용 차량 도입 여부 등 다양한 분리 배출·수거 방법을 도출하기로 했다.
한편 정부는 스파클, 한국청정음료, 동천수, 산수음료 등 음료업체와 함께 폐페트병을 자체 유통망으로 역회수하는 내용의 업무협약도 이달 중으로 체결한다.
고객이 생수나 음료를 온라인 주문할 때 '페트병 회수'를 요청하면서 문 앞에 폐페트병을 내놓을 경우 판매 업체가 신제품을 배송하면서 폐페트병을 다시 가져가는 방식이다.
환경부는 시범 사업, 민관 재활용 협력 사업 등으로 국내에 투명 폐페트병 분리배출이 정착되면 현재 연간 2만2천t에 달하는 폐페트병 수입이 줄고, 2022년 연 10만t에 달하는 국내 폐페트병을 의료용 섬유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아울러 점진적으로 폐페트병 수입도 제한한다는 방침이다.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국내 폐페트병의 재활용 품질을 높여 수입 폐기물 제로화를 달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