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자 361명, 사스도 추월
골든타임 놓친 中 최악 가고있다
2일 하루 역대 가장 많은 57명 희생자 나와
중국 본토에서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우한폐렴)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361명으로 늘었다고 AFP·로이터통신이 3일 보도했다.
확진 환자는 전날보다 2829명이 증가한 1만 7205명을 기록했다. 신규 환자 증가폭도 역대 최고이며 처음으로 환자 수가 1만 7000명을 돌파했다. 이는 중국의 사스 환자 5237명에 비해 세 배 이상, 세계 전체의 사스 환자 8069명보다도 두 배 이상이나 많다.
지난해 12월 8일, 중국 우한에서 첫 확진자, 환자가 발생했는데 당국은 확진자가 속출해도 축소, 은폐했고 1월 18일부터 확진자수를 통합 발표했다.
중국 당국이 진앙지로 추정한 화난 수산물 도매시장도 2주가 지난 후에 폐쇄했고 한 달이 지난 1월 23일에야 우한 봉쇄조치를 취했다.
지난해 12월 30일부터 우한이 봉쇄되기 직전까지 500만 명이 해외로 빠져나갔으며 우리나라에도 6천400여 명이 입국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무증상자들도 입국 검역대를 통과한 것으로 드러나서 2차 피해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마궈창(馬國强) 중국공산당 우한시위원회 서기는 31일(현지시간) 중국중앙(CC) TV와의 인터뷰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와 관련해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부끄럽고 자책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마 당서기는 “만약에 조금 일찍 현재와 같은 통제 조처를 취했다면 결과는 달랐을 것”이라며 “전국적인 영향도 더 적었을 것이고 결과도 지금처럼 심각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처음 우한 내 병원에서 몇몇 환자가 발생했을 때 항생제를 투여해도 차도가 없었다는 병원 보고를 받았던 순간과 다른 병원에서도 비슷한 환자가 발생했던 순간, 태국에서 환자가 발생했던 순간 등이 아쉽다”고 했다.
그러면서 “태국에서 환자가 발생한 1월 12~13일 봉쇄 조처를 내렸다면 현재와 같은 상황으로까지는 이어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거듭 후회했다.
한편 사스는 2002년 11월 발병해 중국에서만 9개월 동안 5327명의 확진자가 나왔고, 이 중 349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우한 폐렴' 생활감염 예방법
KF80 이상 마스크 쓰고…꼼꼼히 손 씻어 '간접 접촉 전파' 막아야
기침할 때 옷소매로 코·입 가리고
불필요한 병원 방문 최대한 자제
감염 의심되면 1339로 신고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2차, 3차 감염 환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철저한 감염 예방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터넷 등에 떠도는 잘못된 정보는 걸러내고 과학에 근거한 예방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공장소에서는 기침예절을 잘 지켜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기침할 때 휴지나 손수건보다는 옷소매로 코와 입을 가리는 것을 권고한다. 질본 관계자는 “휴지나 손수건은 잘 쓰지 않으면 침방울이 샐 수 있고 평소 휴대하지 않는 사람도 많다”며 “가장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옷소매로 가리는 것”이라고 했다.
입에서 침방울이 분출되는 것을 막는 게 기침예절의 핵심이다. 기침을 하면 반경 2m까지 작은 침방울이 확산돼 바이러스가 퍼질 수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환자가 재채기를 하면 바이러스가 있는 침방울이 눈, 코, 입, 피부에 묻을 수 있다”며 “바이러스가 눈, 코, 입의 점막에 붙으면 감염이 시작된다”고 했다.
손씻기는 간접 접촉 전파를 막는 데 필수다. 바이러스가 사람에서 사람으로 바로 옮겨가지 않고 중간에 사물을 거쳐 전파되는 것을 간접 접촉 전파라고 한다. 김 교수는 “손잡이, 의자, 컴퓨터 등 주변 사물에 바이러스로 오염된 침방울이 묻어 있을 수 있다”며 “침방울이 묻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면 감염되는 것”이라고 했다.
흐르는 물에 손을 적시고 비누로 30초 이상 손바닥, 손등, 손톱 밑, 손가락 사이를 비비며 씻어야 한다. 물로 씻기 어려울 때는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알코올 세정제를 들고 다니며 손을 소독해야 한다. 장갑을 착용해 손을 보호하는 것도 방법이다. 가능하면 손으로 눈, 코, 입 등을 만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외출할 때 마스크를 착용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는데 마스크를 올바로 착용해야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면으로 된 마스크보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인증한 보건용 마스크를 쓰는 게 좋다. 전문가들은 0.6마이크로미터(㎛·1㎛=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입자를 80% 이상 차단하는 KF80 마스크면 충분하다고 설명한다.
김 교수는 “KF94, KF99 등은 KF80보다 더 작은 미세입자를 잘 차단하지만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숨이 차기 때문에 현실적인 방법은 아니다”고 말했다. 자기 얼굴 크기에 맞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콧대 부분을 잘 조정해 얼굴과 마스크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외출 시 착용했다가 실내에 들어와 벗었다면 재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타인과 대화하다가 상대방이나 자신의 침이 마스크에 많이 튀었다면 새것으로 교체한다.
물을 자주 마시면 감염병 예방이 도움이 된다. 호흡기 점막이 건조해지면 바이러스가 더 쉽게 침투할 수 있다. 병문안 등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최대한 자제하고 확진 환자가 다녀간 곳으로 보도된 장소를 다녀온 뒤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질본 콜센터(1339)나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