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무식 참석 후 예병태 대표이사와 대화…"합의 따라 현장 배치해달라"
예 대표이사 "경영정상화 노력중…조금만 더 기다려달라"

"노동자가 노동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임금을 받습니까.

"
마지막 남은 쌍용차 해고 노동자 46명이 7일 경기도 평택 쌍용차 공장으로 출근했다.

마지막 남은 쌍용차 해고자 46명 휴직 상태로 11년 만에 출근(종합)
2018년 9·21 합의에 따라 10년 7개월 만에 다시 찾은 일터지만, 이들의 발걸음은 그리 가볍지 않다.

아직 부서배치를 받지 못한 상태에서 지난 크리스마스 이브에 사측으로부터 일방적으로 '무기한 유급 휴직' 통보를 받았기 때문이다.

9·21 합의에 따르면 쌍용차는 해고자 119명 가운데 60%를 2018년 말까지 복직시키고, 나머지는 지난해 상반기까지 복직 시켜 6개월간 무급휴직으로 전환한 후 연말 부서 배치를 완료하기로 했다.

마지막 남은 46명은 통상임금의 70%를 받는 '유급휴직'으로 전환됐지만, 11년 가까이 떠난 일터에서 돈보단 일을 하고 싶었다고 한다.

9·21 합의에 따라 떳떳하게 출근해 부서배치를 요구하겠다는 이들은 이날 평택공장 정문 앞에서 출근 전 기자회견을 열었다.

한 해고자는 "안 울려고 했는데 눈물이 난다"며 "자동차를 만든다는 자부심으로 버텼는데 이번에도 부서배치가 안 된 것이 아직도 믿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출근은 떳떳하다.

아무도 막을 순 없다"며 "이제 안에서 싸워 일자리를 찾겠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남은 쌍용차 해고자 46명 휴직 상태로 11년 만에 출근(종합)
해고자 신분이었다가 지난해 이맘때 복직한 김선동씨는 이날 연차를 내고 동료들을 맞이하러 나왔다.

김씨는 "9·21 합의는 문재인 대통령이 축하해줬고, 이낙연 총리가 현장을 찾아와 노동자를 안아주며 기뻐했던 사회적 합의였다"며 "오늘 축하하러 나온 자리인데 축하보단 함께 싸우겠다고 말하고 싶다"고 전했다.

다른 해고자들의 복직을 모두 지켜본 뒤 마지막에 복직하겠다며 해고자 신분으로 남았던 김득중 금속노조 쌍용차지부장은 "휴직 통보를 받고 치밀어 오르는 분노 속에서 지난 며칠을 보냈다"며 "동료들과 논의한 끝에 사회적 합의에 따라 오늘 출근하기로 결정하고 이 자리에 나왔다"고 운을 뗐다.

이어 "합의를 어긴 것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사측에 있다"며 "즉각 부서배치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가능한 모든 법적 조치를 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긴 시간 (몸은) 현장을 떠나 있었지만 우리의 손끝은 항상 현장을 향했다"며 "누구보다 빠르게 적응할 것이고, 명차를 만들어 보이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장에는 평택지역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나와 쌍용차 사측의 일방적인 휴직 통보를 비판하며 해고자들을 격려했다.

해고자 46명은 회사 정문을 통과해 오전 9시부터 진행된 시무식에 참석한 뒤 오전 10시 30분부터 1시간 10분여 동안 예병태 대표이사와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해고자들은 10년 넘게 겪은 경제적 어려움을 설명하고 조속한 현장 복귀를 요구했다.

예병태 대표이사는 "그동안 마음 아프셨던 얘기를 들으니 저도 마음이 아프다"며 "회사 정상화를 위해 판매 증대에 주력해 최대한 빨리 복귀할 수 있도록 노력할테니 조금만 더 기다려달라"고 답했다.

쌍용차 관계자는 "일자리를 마련하려면 판매 물량이 늘어야 하는데 지난해 실적이 좋지 않아 복직자들이 일할 자리를 만들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작년엔 노사가 합의해 처음으로 공장 문을 닫을(셧 다운) 정도였다"고 말했다.

해고자들은 본관 대회의실에서 대기한 뒤 오전 출근조가 퇴근하는 오후 3시 40분 함께 퇴근하면서 동료 직원들을 상대로 홍보전을 펼쳤다.

8일부터는 오전 근무자의 근무시간과 같이 오전 6시 30분 출근해 오후 3시 40분 퇴근하면서 부서배치를 계속해 요구하고, 9일에는 경기지방노동위에 부당 휴직에 대한 구제신청을 낼 예정이다.

쌍용차 사태는 2009년 4월 전체 임직원의 36%인 2천600여 명이 정리해고되자 노조원들이 반발해 5월 21일 옥쇄 파업에 돌입하면서 촉발됐다.

77일간 이어진 파업 과정에서 한상균 당시 쌍용차지부장 등 64명이 구속됐고, 1천700여 명이 명예퇴직 등으로 회사를 떠났다.

조합원 970여 명은 옥쇄 파업을 끝까지 버텼지만, 무급휴직(454명)이나 명예퇴직을 택해야 했고, 165명은 끝까지 선택하지 않아 결국 해고자 신세가 됐다.

쌍용차는 경영상태가 호전된 2013년 가장 먼저 무급휴직자 454명을 전원 복직시켰고, 이후 순차적으로 해고자와 희망 퇴직자 등을 2016년 40명, 2017년 62명, 2018년 87명 복직시킨 바 있다.

마지막 남은 쌍용차 해고자 46명 휴직 상태로 11년 만에 출근(종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