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간 등 3개국서 온 이민자 중 '비무슬림'에 시민권
방송사에 '반국가적 콘텐츠' 자제 요청…7천명 이상 구금

인도에서 이달 초부터 시민권법 개정안(CAA) 반대 시위가 계속되면서 경찰과 무력충돌 과정에 사망한 사람이 24명으로 늘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이끄는 인도 정부는 시위가 격화되자 뉴델리 일부 지역과 서벵골주, 아삼주 전체, 우타르프라데시주 알리가르시로 전화망과 인터넷 통신 차단구역을 확대했다.

印시민권법 개정 반대 시위로 24명 사망…통신 차단 확대
22일 AFP통신·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금요일인 지난 20일 우타르프라데시주에서 시민권법 개정을 반대하는 시위가 곳곳에서 열려 시위대 14명이 총에 맞아 숨졌다.

특히 바라나시에서는 경찰을 피해 달아나는 시위대 인파에 짓밟혀 8세 소년 한 명이 숨졌다.

또, 21일에도 우타르프라데시주 람푸르에서 열린 시위에서 시민 한 명이 숨졌다.

시위대는 사망자들이 경찰이 쏜 총에 맞았다고 주장하는 반면, 경찰은 단 한 발도 실탄을 발포하지 않았고 시위대가 총을 쐈다고 맞서고 있다.

앞서 인도 카르나타카주에서 두 명, 북동부 아삼주에서 6명이 숨졌다.

印시민권법 개정 반대 시위로 24명 사망…통신 차단 확대
이달 11일 국회를 통과한 시민법 개정안은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방글라데시에서 종교적 박해를 피해 인도로 온 힌두교도, 불교도, 기독교도, 시크교도, 자인, 파르시 신자에게 시민권 신청 자격을 주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인도 헌법은 모든 종교를 공평하게 대한다는 세속주의를 표방하고 있음에도 무슬림(이슬람 신자)을 배제한 것이다.

인도 13억5천만명 인구 가운데 절대다수인 80%가 힌두교를 믿는다.

무슬림은 14%를 차지하며 기독교도의 비중은 2%에 못 미친다.

약 2억명의 인도 무슬림들은 '반무슬림법'이라며 시민권법 개정에 반발해 시위 현장으로 쏟아져나왔다.

반정부 시위는 무슬림 학생들이 주도했다.

印시민권법 개정 반대 시위로 24명 사망…통신 차단 확대
인도 정부는 닷새 전부터 시민법개정 관련 시위를 전면 금지하고, 동북부 지역과 뉴델리 일부 지역의 통신망을 차단했다.

시위 발생 지역의 식당과 상점은 모두 문을 닫은 상태다.

인도 정부는 금요일부터 시위가 격화되자 통신망 차단 구역을 확대했다.

아울러 같은 날 밤 정보통신부가 인도 전국 방송사에 "법과 질서유지에 어긋나거나 반국가적 태도를 부추기는 콘텐츠 사용을 제한하라"고 요청했다.

지금까지 7천명 이상이 선전·선동, 시위 현장 폭력 혐의 등으로 구금됐다.

뉴델리의 한 단체는 인도 정부가 올해 최소 102차례나 지역별로 인터넷 서비스를 차단했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킵잇온'이라는 단체는 25개국에서 196차례 인터넷 서비스를 차단했는데, 이 가운데 인도가 134건, 67%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印시민권법 개정 반대 시위로 24명 사망…통신 차단 확대
모디 정부가 2014년 집권한 이래 인도에서 인터넷 서비스가 차단된 사례는 360차례가 넘는다고 한다.

인도 정부는 8월 5일 파키스탄과 영토분쟁 지역인 잠무-카슈미르주의 자치권을 박탈하면서 테러 위험을 막겠다며 집회·시위 금지와 함께 핸드폰·인터넷 등 통신망 폐쇄 조치를 했다.

인도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등 다른 나라들도 반정부 시위가 격화된 곳의 통신망을 차단해 SNS를 통한 선전·선동, 실시간 정보공유를 막는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지난 8월 뉴기니섬 파푸아에서 반정부 소요사태가 발생하자 2주일 동안 인터넷 서비스를 차단했었다.

印시민권법 개정 반대 시위로 24명 사망…통신 차단 확대
한편, 인도 사태와 관련해 마하티르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는 "인도는 세속적 국가이기에 종료에 따라 시민권 획득 기회를 막아서는 안 된다"며 "무슬림이 정당한 절차로 시민이 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공개 비판했다.

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는 "인도 내부 시위가 늘면서 파키스탄에 대한 위협도 커지고 있다"고 트위터를 통해 경고했다.

인도와 올해 전투기를 동원해 공중전까지 치렀던 파키스탄은 인도 정부가 내부의 관심을 외부로 돌리기 위해 자국과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한다.

印시민권법 개정 반대 시위로 24명 사망…통신 차단 확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