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영화 콘텐츠' 연관 산업 발전 도모
북한개발은행 설립·아세안 공적 개발원조 사업도 추진
[아세안 허브 부산] ③ 다양한 후속사업…정상회의 효과 극대화(끝)
' />

부산시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뒤 다양한 후속 사업을 펼쳐 회의 개최 효과를 극대화하고 아세안 국가와의 지속적인 협력체계도 구축할 예정이다.

우리나라가 강점을 지닌 정보통신기술(ICT)과 부산 대표산업인 영화·영상 콘텐츠를 융합해 관련 산업 발전을 꾀하고, 부산형 융합 공적 개발원조(ODA) 사업으로 아세안 국가와 경제교류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먼저 해운대에 '한·아세안 정보통신기술(ICT) 빌리지'를 세울 예정이다.

이곳은 5G 중심의 한·아세안 정보통신기술 분야 협업 공간이다.

아세안 국가 정보통신 분야 시장 진출을 늘리고 동반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게 설립 취지다.

5G 기반 고품질 가상·증강현실(VR·AR) 입체 콘텐츠 제작을 위한 360도 입체 영상 제작이 가능한 스튜디오를 만든다.

아세안 기업들과 VR 콘텐츠 공동제작을 꾀하고 국내 VR 콘텐츠가 아세안 마켓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5G 전용 콘텐츠의 해상도와 안전성을 검증·보완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도 구축하며 VR과 AR, 혼합현실(MR)을 융합한 개념인 XR(eXtended Reality) 인력 발굴과 산업·문화 교류 네트워크를 만드는 역할도 하게 된다.

[아세안 허브 부산] ③ 다양한 후속사업…정상회의 효과 극대화(끝)
' />
부산에 있는 아세안 국가 유학생들이 편히 지낼 수 있는 거주공간인 '아세안 유학생 융복합 거점센터' 건립도 추진된다.

2018년 기준 부산 전체 유학생 1만1천361명 중 아세안 국가 학생은 31.7%인 3천596명에 이른다.

부산 해운대구에 있는 아세안문화원 인근에 5층 규모로 지어질 주거공간은 300여명이 머물 수 있는 기숙사와 유학생 센터, 대학생 교류 공간 등으로 꾸며진다.

아세안 10개국과 우리나라 영화인들이 참여하는 '한·아세안 영화기구' 설립도 추진된다.

아세안 국가 영화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한류 콘텐츠 한류 콘텐츠 유통 경로를 다각화하자는 게 설립 취지다.

한·아세안 공동 프로모션, 배급, 펀딩, 제작·투자, 전문인력 양성, 영화인 교류 등을 맡게 된다.

[아세안 허브 부산] ③ 다양한 후속사업…정상회의 효과 극대화(끝)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후속 사업 중 눈에 띄는 것 중 하나가 기획재정부가 주관하는 북한개발은행 설립이다.

북한의 대외 개방 이후 주요 인프라 개발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고, 인프라 개발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아세안 10개 국가는 모두 국가와 수교 관계를 맺고 있다.

더 나아가 북한개발은행을 부산국제금융센터에 유치해 부산에 남북경협 금융센터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초기 자본금은 약 10조원으로 추정되는데, 정부와 지자체 남북협력기금과 국책금융기관, 국제금융기구 출자 등으로 재원 충당할 예정이다.

부산형 융합 공적 개발원조(ODA) 사업을 진행해 부산·아시안 간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인적 교류도 확대하는 사업도 추진된다.

부산은 미얀마 양곤에 수산물 유통 현대화 사업을, 베트남 호찌민에 스마트 배수 블록시스템 구축 사업을, 베트남 빈투안에 가축 분뇨 자원화 설비 구축사업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세안 허브 부산] ③ 다양한 후속사업…정상회의 효과 극대화(끝)
' />
김은경 부산시 신남방팀장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후속사업으로 진행되는 아세안 국가의 개발 중심 ODA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부산 기업이 아세안 국가로 진출하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 부산이 아세안 국가의 ODA 사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허윤수 부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부산시가 운영하는 아세안 지역 해외무역사무소를 확대하고 기능과 위치를 재조정해 현지에 나가 있는 우리 기업에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해야한다"면서 "ODA 사업 중에서는 부산이 높은 기술 경쟁력을 지닌 스마트 시티 기술과 상·하수도 분야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정은 신라대 국제관광경영학부 교수는 "정상회의가 끝나면 그에 따른 후속조치로 실무그룹이 머리를 맞대는 워킹그룹 회의에서 정상회의 후속조치에 해당하는 다양한 사업들이 논의될 것"이라며 "부산이 내실 있게 후속사업을 진행해야 국내 최고 마이스 도시라는 부산의 위상이 더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