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대표님, 돈이 그렇게 좋으세요?
나는 자주 대학에 간다. 금융 강연, 특히 주식 강연을 위해서다. 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은 “대표님은 돈이 그렇게 좋으세요?”라는 것이다. 이런 질문은 어떻게 대답을 해야 할까 매번 난감하다. “돈을 중시하고 아끼고 투자하고 경제독립을 이뤄야 훗날 노후를 어렵지 않게 보낼 수 있다”는 나의 설명에 많은 학생이 반발 섞인 항변을 하기도 한다.

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일까? 한국은 어렸을 때부터 돈에 대한 교육을 하지 않는다. 돈에 대한 교육 부재는 ‘금융 문맹’을 초래한다. 금융 문맹이 높은 나라는 경제적인 쇠퇴가 뒤따른다. 금융 문맹의 대표적인 나라 일본을 보면 실감할 수 있다.

금융 문맹은 질병과도 같다. 더 무서운 것은 전염성이 크다는 사실이다. 최근 초등학교 교사로부터 연락이 왔다. 학생들에게 주식 강연을 해달라는 요청이었다. 기쁜 마음으로 승낙했지만 며칠 뒤 실망스러운 연락을 받았다. “교장선생님이 절대로 안 된다고 해 취소를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금융 문맹이 전염되는 대표적인 경로다.

금융 문맹은 개인의 삶을 파괴하지만 국가 경쟁력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특히 자본주의 국가에 살면서 돈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돈과 관련한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은 돈을 감정적으로 다루게 된다. 나중에 대가를 치를 수밖에 없다. 소득에 비해 너무나 많은 사교육비 지출과 과소비를 통해 부자처럼 보이려고 하는 라이프스타일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한국의 금융 문맹률은 일본 다음으로 높다. 태반의 직장인들은 자신의 퇴직연금이 어떻게 운용되는지 모르고, 부모들은 자신의 노후자금을 자녀를 위한 사교육비로 지불한다. 1년에 약 20조원에 이르는 금액이 낭비된다. 아이들 성적과 경제독립과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데도 이런 막대한 자금이 생산성 높은 기업들에 투자되지 못하고 있다. 신생 기업은 창업자금이 부족한데, 가장 수익률이 낮은 사교육비로 낭비되고 있는 것은 금융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기인한다. ‘돈을 위해 일하는 것’보다는 ‘돈이 나를 위해 일하도록 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한국은 노인층 빈곤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다. 돈을 감정적으로 다룬 대가를 치르고 있다. 젊은 세대가 결혼을 하지 않고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 중 가장 큰 것이 경제적 불안감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경제교육, 곧 돈에 대한 교육부터 시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