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인근 5만5천㎡ 규모 노른자위 땅이 30년간 개발을 못 하도록 묶이게 됐다.
고양시는 잠재가치가 높은 땅을 보존하는 내용의 '고양시 미래용지 지정·관리 조례'가 지난 27일 고양시의회를 통과했으며, 일산서구 대화동 킨텍스 지원단지 내 5만5천㎡ 규모 C4 부지를 첫 미래용지로 지정했다고 30일 밝혔다.
ADVERTISEMENT
미래용지는 30년 뒤 도시가 노후화했을 때 발생하는 막대한 비용을 보전하기 위해 남겨두는 땅으로 30년간 땅의 처분이 금지돼 임시 활용만 가능하다.
C4 부지는 고양시가 킨텍스 활성화를 위해 개발한 지원단지 14개 부지 중 하나로, 가장 규모가 큰 알짜배기 땅이다.
업무·숙박·상업시설이 들어설 수 있는 곳으로, 국내 최대 차이나타운 개발이 추진돼 2008년 착공까지 했으나 개발업체의 경영난으로 사업이 무산된 바 있다.
ADVERTISEMENT
이후 고양시는 수차례에 걸쳐 매각을 시도했으나 경기침체로 모두 실패했다.
고양시는 매각 추진 과정에서 기업들이 90% 이상 주거형 오피스텔 건설을 원하는 등 시의 정책과 맞지 않아 지난해 9월 매각 절차를 중단했다.
지난 10여년 간 매각된 13곳의 부지에 아파트와 주거용 오피스텔 8천600여실이 들어서 킨텍스 지원 기능을 사실상 상실했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이재준 고양시장은 "조성한 지 30년 가까이 된 일산신도시는 20∼30년 뒤면 리모델링이나 재건축 등 개발을 늦출 수 없게 돼 도시의 치유 비용을 다음 세대가 떠안게 된다"며 "미래 세대의 막대한 부담을 함께 나누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미래용지 지정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