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은행 일자리 창출 조사' 발표 또 연기…은성수 감싸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감 앞두고 일부러 늦춘 것 아니냐' 비판
금융위 "실무적 문제일 뿐 정치적 이유 전혀 없어"
금융위 "실무적 문제일 뿐 정치적 이유 전혀 없어"

"정치적 판단 전혀 아닙니다. 실무적인 분석 단계에서 시간이 더 걸릴 뿐입니다."(금융위)
정부가 은행들의 일자리 창출 실태를 전수 조사해 지난달 발표하기로 한 '금융권 일자리 창출 효과 측정 계획'이 9월에서 10월로 또다시 연기됐다. 국정감사를 앞둔 금융위원회가 신임 금융위원장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 일부러 늦추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위의 은행권 채용 압박에 대한 논란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계획이 발표되자 은행권을 중심으로 불만의 소리가 나왔다. "사실상 채용 압박" "고용 참사 책임 전가" "일자리 팔 비틀기"라는 것이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금융업계를 비판해온 노동계와 시민단체, 언론의 떡밥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위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일자리 창출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자는 순수한 취지일 뿐 채용 압박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경제여건 변화에 따른 금융권의 일자리 창출 현황과 구조적 변화 추세 등을 파악하는 게 주된 목적"이라 설명했다.
ADVERTISEMENT
은행권의 시각은 곱지 않다. 금융위가 부정 여론을 의식해 다음달 21일 열리는 국감 이후로 발표 시점을 늦춘 것 아니냐는 것이다. 4대은행 관계자는 "신임 금융위원장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고 늦출수록 은행권의 부담은 늘어간다"고 지적했다.
은행권을 압박하기 위해 국감 직전에 발표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여당 의원들이 정부의 고용 참사를 변호하기 위해 이 자료를 활용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다.
ADVERTISEMENT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