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친환경정책 뒤집은 트럼프 "전기세 절약보다 전구 구입비 더 올라"

반(反)환경 정책으로 환경단체와 잦은 갈등을 빚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에는 에너지 효율이 낮은 백열전구의 퇴출 계획을 백지화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지난 2007년부터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호를 위해 소비 전력이 큰 백열전구를 단계적으로 퇴출하고, 발광다이오드(LED) 전구로 대체하겠다는 버락 오바마 전임 행정부와 미 의회의 친환경 정책을 완전히 뒤집는 것이다.

또 환경규제 없앤 트럼프…에너지비효율 전구 퇴출계획 백지화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미 에너지부가 곧 시행을 앞둔 백열전구 퇴출 계획을 취소했다면서 "(퇴출 조치로) 절약된 부분은 그럴만한 가치가 없다.

가격 역시 또 다른 문제"라고 언급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소비자들이 가격이 좀 더 비싼 고효율 LED 전구를 사서 전기세를 절약하는 것보다, 고효율 전구를 구매하는데 더 큰 비용이 든다고 주장했다.

미 에너지부도 이날 연방 관보에 개정안을 고시하기에 앞서 성명을 통해 "가정과 기업에서 사용하는 조명에 대한 선택권을 연방정부가 아닌 미국 시민들에게 돌려줄 것"이라고 밝혔다.

환경단체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미국의 유력 환경단체인 천연자원보호협의회(NRDC)의 노아 호로비츠 이사는 이번 조치로 "가정과 기업이 더 큰 비용을 지불하게 될 것이며, 필요 이상으로 과잉 생산된 전력 낭비가 명백히 환경 오염을 유발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다른 비영리 환경단체는 "미국 산업의 경쟁력과 혁신을 저해하면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이들의 노력을 가로막는 조치"라고 비난했다.

LED 전구는 백열전구의 20~25%에 해당하는 전력을 소비하며, 수명은 10~25배 더 길다.

묶음 기준으로 LED 전구가 1달러(약 1천200원)가량 더 비싸지만, 평생 LED 전구를 사용할 경우 평균 50~150달러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고 AFP 통신은 전했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환경 규제가 기업에 부담을 가중한다며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메탄가스 배출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또한 멸종위기종 지정 절차를 까다롭게 만들거나, 야생동물보호구역 내 유전자변형농산물(GMO) 재배를 금지하는 조치를 폐지해 환경운동가들의 반발을 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