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중국이 미국의 추가관세에 대한 보복조치로 맞대응 추가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뉴욕증시 주요지수가 일제히 폭락했다.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와 글로벌 경기침체의 그림자가 더욱 짙어지고 있다.

이날 미국 뉴욕증시도 이 같은 우려에 급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623.34포인트(2.37%) 급락한 25,628.9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75.84포인트(2.59%),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39.62포인트(3.0%) 크게 하락했다.

앞서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75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원유와 대두 등 5078개 품목에 대해 각각 10%와 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각각 9월 1일, 12월 15일부터 적용된다. 또한 그간 관세 면제 대상이던 미국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도 12월 15일부터 각각 25%, 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의 보복관세 조치에 대한 중국의 맞대응이다. 앞서 미국은 3000억달러 어치의 중국산 제품해 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장 9월 1일부터 예정대로 시행할 계획이다.

미중 무역전쟁이 보복 난타전으로 치달으면서 미 국채 장·단기물의 수익률(금리) 역전 현상도 다시 일어났다. 2년물과 10년물 미 국채 장·단기물의 수익율 역전은 경기침체 신호로 해석된다. 장기채는 자금을 오래 빌려 쓰는 만큼 단기채보다 수익률이 높은 게 통상적이다. 하지만 단기채 금리가 더 높은 현상이 지난 14일에 이어 9일 만에 다시 발생한 것이다.

14일 금리 역전 당시 다우지수는 올해 들어 최대폭인 800포인트 이상 급락한 바 있다. 이후 꾸준한 회복세를 보이던 뉴욕증시에 다시 경기침체 신호인 국채 금리 변동성이 발행한 셈이다. 최근 2주간 네 번째 금리 역전이 일어나자 투자심리는 더 얼어붙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제롬 파월(오른쪽). 지난해 11월 2일 트럼프 대통령(왼쪽)의 의장 지명 뒤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하던 모습. 사진= 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제롬 파월(오른쪽). 지난해 11월 2일 트럼프 대통령(왼쪽)의 의장 지명 뒤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하던 모습. 사진= 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9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언급하지 않은 점도 지수 폭락의 단초가 됐다.

파월 의장은 이날 잭슨홀 미팅 연설에서 미중 무역전쟁 등에 따른 글로벌 성장둔화와 불확실성을 언급하며 현재의 경기 확장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히 행동할 것"이라고만 밝혔다. 지난달 기준금리를 10년 7개월 만에 0.25%p 인하하며 강조했던 "중간 사이클 조정"은 언급하지 않았다.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은 있지만 이를 예상할만한 파월의 발언이 나오지 않자 투자 심리는 더 얼어붙었다.

김민성 한경닷컴 기자 me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