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년 기자회견 "원도심에 활력 불어넣겠다"

취임 1년을 맞은 고희범 제주시장이 감량기 설치 등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절반 아래로 줄이겠다고 선언했다.

고희범 제주시장 "감량기 설치로 음식물 쓰레기 반으로 줄일 것"
고 시장은 21일 오전 제주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 여러분께 드리는 편지'로 1년 간의 소회와 남은 임기 1년의 각오를 밝혔다.

그는 "쓰레기 반입 거부를 밝혔던 봉개동 주민들이 오랜 시간 협의 끝에 마음을 열어준 데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쓰레기 처리 정책에 대한 비상한 관심으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문을 열었다.

고 시장은 차고지증명제가 정착하도록 제도상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공익은 모든 이익보다 우선한다'는 원칙 아래 해수욕장 불법행위, 축산분뇨 무단배출 등에 대해 앞으로도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원도심 재생사업과 관련해 "원도심에 방치된 빈집들을 전수조사하고 매입해 공공시설과 행복주택 등으로 꾸며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쓰레기 문제에 대한 복안이 있나
▲ 음식물 쓰레기를 절반으로 줄이는 계획을 마련했다.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를 모든 식당에 설치할 경우 음식물 쓰레기 배출 양이 절반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그걸 위해선 24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가정용 쓰레기 감량기에 대한 지원도 할 계획이다.

가정용은 실제로 사용중인 이들도 있다.

쓰레기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하진 않지만 의미 있는 일이다.

처음부터 많은 예산을 확보하긴 어렵지만 내년 예산에 포함할 예정이다.

식당용 기기의 경우 운영비가 많이 드는데 지금은 배출비용을 넘어선다.

음식물 쓰레기 배출 비용 수수료를 높여서 감량기를 사용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제도와 조례를 손 보겠다.

재활용 극대화를 위해 업사이클링센터 조성 사업을 추진할 것이다.

국비 절충 과정에서 다소 문제가 있었지만 반드시 건립하겠다.

쓰레기매립장과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 모든 행정력과 방법을 다 동원하겠다.

-- 제주시의 최대 현안은 무엇으로 보나
▲ 최대 현안은 역시 쓰레기 문제다.

사업 지연이 시민들의 걱정을 낳게 했다.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하겠다.

-- 봉개매립장 입구에서 1인 시위가 다시 시작됐다던데
▲ 이미 큰 틀에서 제주시와 봉개동 주민대책위가 협의를 마쳤다.

원희룡 지사가 봉개동 주민들을 따뜻하게 위로할 것이다.

고통을 1년 이상 더 겪어야 할 분들에 대한 위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쓰레기 사태, 잘못된 광역화 정책 때문 아닌가
▲ 환경부의 방침이 광역화여서 그렇게 된 부분이 있다.

산남 지역의 쓰레기가 구좌읍 동복리로 가고, 한경면 고산리의 음식물 쓰레기가 서귀포 색달동으로 가고 있다.

문제가 있긴 하다.

우도에 5t 규모의 쓰레기 소각로를 설치할 예정이다.

국비확보도 돼 있고, 정말 좋은 소각로를 설치하기 위해 많은 검토를 거쳤다.

이것을 모델로 읍면 지역에 소각로를 설치할 것이다.

-- 갈등 현안이 많은데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가에 대한 원칙이 있나
▲ 어떤 정책도 갈등의 소지를 안고 있다.

이해가 상충하기도 하고 일방적으로 피해를 보는 경우도 있기 마련이다.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그 갈등을 조기에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방법은 소통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제주시는 갈등소통팀을 구성해서 운영중이다.

사전에 이해당사자들과 접촉해 의견을 듣고, 전문가의 도움을 구해 갈등을 예방하는 방식으로 일을 진행하고 있다.

-- 행정시장직선제 추진되고 있다.

행정시장직선제에 대한 견해는.
▲ 임명직 시장이어서 어려운 것이 있다기 보다는 행정시장이어서 한계가 있다고 본다.

행정시장은 '기초자치단체의 장'이 아니다.

따라서 예산, 인사 등에 대한 권한이 없다.

행정시장 직선제로 가더라도 그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행정시장 직선제가 되면 제주도에 대한 시장의 목소리가 커지겠지만 여전히 한계는 있을 것으로 본다.

세수의 일정 부분을 행정시가 자율적으로 예산편성해서 쓴다든가 조례제정 요구권이 구체적으로 명시돼 보장된다든가 하는 보완장치들이 따라가야 한다.

그래야 지방자치, 분권에 역할을 할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