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제조·무역업체 45% "일본의 수출 규제 부정적 영향 우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광주상의 조사 결과…"외교 출구전략·부품 소재 국산화 필요"
광주지역 제조·무역업체 2곳 중 1곳 가까이가 일본의 수출규제가 업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했다.
14일 광주상공회의소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7일까지 지역 제조·무역업체 122개를 대상으로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 영향과 대응계획에 대한 의견 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45.1%는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54.1%는 "별다른 영향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일본 부품·소재와 장비를 사용하는 기업(75개사)들의 57.3%는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는 이유로는 '자사 제품의 일본 수출 부정적 영향'(32.7%), '원청기업의 발주 또는 투자 위축 우려'(29.1%), '재고 확보 및 대체 부품 소재 조달 비용 부담과 공정 적응 애로'(21.8%), '일본이 독점하는 부품·소재와 장비의 대체 조달이 쉽지 않기 때문'(14.5%) 등을 꼽았다.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는 이유는 '일본산 부품 소재와 장비 사용이 거의 없기 때문'(71.2%), '국산화 수준이 높아 대체할 수 있기 때문'(16.7%) 등을 꼽았다.
부정적 영향을 언급한 업체들의 대응 계획은 '대체재 조달'(29.1%), '공정 변경'(21.8%) 등었고, 27.3%는 "대응책이 없다"고 답했다.
정부 지원 대책으로 '부품·소재·장비 수급 안정을 위한 행정적·재정적 지원'(38.5%),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 투자비 지원'(31.7%), '규제 특례조치 확대'(13.2%), '피해기업 긴급 경영안정 자금 지원'(10.7%), '피해기업 납세 유예 지원'(5.9%) 등을 들었다.
일본의 수출규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외교적 대응을 통한 출구 마련'(35.2%), '첨단 부품·소재 국산화'(30.3%)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지역기업의 일본 수출에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다"며 "일본 수출규제가 장기화하지 않도록 정부는 외교적 해법을 적극적으로 찾고, 지자체와 유관기관, 공공 연구기관 등은 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한 지원과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14일 광주상공회의소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7일까지 지역 제조·무역업체 122개를 대상으로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 영향과 대응계획에 대한 의견 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45.1%는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54.1%는 "별다른 영향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일본 부품·소재와 장비를 사용하는 기업(75개사)들의 57.3%는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는 이유로는 '자사 제품의 일본 수출 부정적 영향'(32.7%), '원청기업의 발주 또는 투자 위축 우려'(29.1%), '재고 확보 및 대체 부품 소재 조달 비용 부담과 공정 적응 애로'(21.8%), '일본이 독점하는 부품·소재와 장비의 대체 조달이 쉽지 않기 때문'(14.5%) 등을 꼽았다.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는 이유는 '일본산 부품 소재와 장비 사용이 거의 없기 때문'(71.2%), '국산화 수준이 높아 대체할 수 있기 때문'(16.7%) 등을 꼽았다.
부정적 영향을 언급한 업체들의 대응 계획은 '대체재 조달'(29.1%), '공정 변경'(21.8%) 등었고, 27.3%는 "대응책이 없다"고 답했다.
정부 지원 대책으로 '부품·소재·장비 수급 안정을 위한 행정적·재정적 지원'(38.5%),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 투자비 지원'(31.7%), '규제 특례조치 확대'(13.2%), '피해기업 긴급 경영안정 자금 지원'(10.7%), '피해기업 납세 유예 지원'(5.9%) 등을 들었다.
일본의 수출규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외교적 대응을 통한 출구 마련'(35.2%), '첨단 부품·소재 국산화'(30.3%)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지역기업의 일본 수출에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다"며 "일본 수출규제가 장기화하지 않도록 정부는 외교적 해법을 적극적으로 찾고, 지자체와 유관기관, 공공 연구기관 등은 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한 지원과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