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가치 한달새 5% 하락…"달러당 1250원까지 갈수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개 신흥국 중 아르헨·남아공 다음…미중·한일 악재 겹친 탓
원화 가치가 최근 한 달여 만에 5% 떨어졌다. 시장에선 달러당 1250원까지 가파르게 하락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으로 원화 가치는 6월 말 대비 5.0% 하락했다.
환율이 달러당 1154.7원에서 1214.9원으로 60.2원 상승한 것이다.
원화가치 하락 폭은 경제 규모가 큰 신흥시장 10개국(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러시아,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중 3번째로 컸다.
이 기간 한국 원화보다 하락 폭이 큰 통화는 아르헨티나 페소화(-6.6%)와 남아공 랜드화(-6.3%)였다.
미중 무역분쟁이 신흥국들의 통화가치 하락 배경이다.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부과 발표, 중국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넘은 '포치(破七)', 중국에 대한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등이 잇따른 결과다.
신흥국 통화 중에서도 유독 원화 가치가 많이 떨어진 데는 미중 무역분쟁에 일본의 수출규제 등 다른 악재까지 겹친 탓이다.
한국 경제는 무역 의존도가 37.5%로 주요 20개국(G20) 중 3번째로 높은 데다 주요 교역국이 미국과 중국이다. 가뜩이나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경제의 펀더멘털에 대한 의구심이 커져 환율이 급등했다.
한은 관계자는 "일본의 수출규제로 원화 약세 기대감이 지속한 가운데 예상보다 덜 완화적인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회의 결과,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으로 환율이 대폭 상승했다"고 말했다.
하루에만 환율이 장중 20원 급등했던 '검은 월요일(지난 5일)' 이후 다소 안정되는 모습도 나타났지만 당분간 환율은 하락보다는 상승 압력을 더 크게 받으리라는 관측이 많다. 상황에 따라 달러당 1250원 가까이 오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박스권에서 움직이겠지만, 다른 악재가 터질 경우 금세 튀어 오를 수 있는 상황"이라며 "1245원까지는 상승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에서 고착화해 상승 쪽으로 기울면 외국인투자자는 물론 국내 개인투자자들의 자금 유출로 이어지고 이 때문에 환율이 더 오르는 '악순환'에 빠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김소영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진짜 문제는 경기 악화와 환율 상승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라며 "경기 악화로 투자심리가 나빠져 환율이 오르고 외국인들이 환차손 때문에 돈을 빼 가고 자본유출 우려가 커지면서 다시 환율이 오르는 상황"을 우려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으로 원화 가치는 6월 말 대비 5.0% 하락했다.
환율이 달러당 1154.7원에서 1214.9원으로 60.2원 상승한 것이다.
원화가치 하락 폭은 경제 규모가 큰 신흥시장 10개국(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러시아,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중 3번째로 컸다.
이 기간 한국 원화보다 하락 폭이 큰 통화는 아르헨티나 페소화(-6.6%)와 남아공 랜드화(-6.3%)였다.
미중 무역분쟁이 신흥국들의 통화가치 하락 배경이다.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부과 발표, 중국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넘은 '포치(破七)', 중국에 대한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등이 잇따른 결과다.
신흥국 통화 중에서도 유독 원화 가치가 많이 떨어진 데는 미중 무역분쟁에 일본의 수출규제 등 다른 악재까지 겹친 탓이다.
한국 경제는 무역 의존도가 37.5%로 주요 20개국(G20) 중 3번째로 높은 데다 주요 교역국이 미국과 중국이다. 가뜩이나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경제의 펀더멘털에 대한 의구심이 커져 환율이 급등했다.
한은 관계자는 "일본의 수출규제로 원화 약세 기대감이 지속한 가운데 예상보다 덜 완화적인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회의 결과,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으로 환율이 대폭 상승했다"고 말했다.
하루에만 환율이 장중 20원 급등했던 '검은 월요일(지난 5일)' 이후 다소 안정되는 모습도 나타났지만 당분간 환율은 하락보다는 상승 압력을 더 크게 받으리라는 관측이 많다. 상황에 따라 달러당 1250원 가까이 오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박스권에서 움직이겠지만, 다른 악재가 터질 경우 금세 튀어 오를 수 있는 상황"이라며 "1245원까지는 상승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에서 고착화해 상승 쪽으로 기울면 외국인투자자는 물론 국내 개인투자자들의 자금 유출로 이어지고 이 때문에 환율이 더 오르는 '악순환'에 빠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김소영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진짜 문제는 경기 악화와 환율 상승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라며 "경기 악화로 투자심리가 나빠져 환율이 오르고 외국인들이 환차손 때문에 돈을 빼 가고 자본유출 우려가 커지면서 다시 환율이 오르는 상황"을 우려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