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으로 장기간 입원 치료를 받다 퇴원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건강이 호전을 보인다는 평가다.교황이 입원했던 로마 제멜리 병원의 세르조 알피에리 외과과장은 29일(현지시간) "지난 26일 바티칸시국 '산타 마르타' 처소에서 회복 중인 교황을 방문했을 때 활기 넘치는(lively) 상태였다"며 "놀라운 호전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88세인 프란치스코 교황은 양쪽 폐에 발생한 폐렴으로 지난달 입원해 38일간 치료받고 지난 23일 퇴원했다.알피에리 과장은 퇴원 후 사흘 뒤 교황이 있는 바티칸을 방문한 후 "100%는 아니더라도 이전 모습의 90%까지는 돌아올 것이라고 믿는다"며 "알피에리 과장은 산소 치료의 여파로 약해진 교황의 목소리에도 다시 힘이 생기고 있으며, 호흡을 위해 산소 장치에 의존하는 정도도 줄고 있다"고 전했다.퇴원 당시 교황이 신도들 앞에서 팔을 제대로 들어 올리지 못해 우려를 자아내기도 했다. 이에 대해서는 입원 전에 받은 밝혀지지 않은 외상으로 인한 것이며, 치료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알피에리 과장은 퇴원 후에도 교황의 개인 의료팀과 매일 소통하고 있으며, 매주 바티칸을 방문해 교황의 건강을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번 방문에서도 프란치스코 교황 특유의 유머 감각을 보여줬다는 평이다. 알피에리 과장은 88세인 교황에게 '50대 혹은 60대의 정신력을 지녔다'고 칭찬을 건네자 교황이 자신 쪽으로 몸을 기울이게 하더니 '50대가 아니라 40대'라고 말했다고 회상하면서 "그의 뛰어난 유머 감각은 돌아왔다"고 했다.교황은 현재 외부 활동을 피하며 재활에 전념하고 있다. 의료진은 그에게 두달 간
패스트푸드 브랜드 맥도널드의 대표 메뉴인 빅맥을 50년 넘게 3만 5000개를 먹으며 기네스북에 오른 남성의 건강 상태가 공개됐다.27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위스콘신주 퐁뒤라크에 사는 전직 교도관인 도널드 고르스키(71)는 1972년 5월부터 매일 평균 2개, 매년 평균 600개의 빅맥 버거를 먹었다. 많을 때는 하루에 9씩 먹어 치웠다.고르스키는 1999년 평생 가장 많은 빅맥을 먹은 사람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됐고, 이번 달 누적 3만 5000개의 빅맥 버거를 먹어 지난 15일 기네스 기록을 경신했다. 고르스키는 빅맥을 주문할 때마다 영수증과 배달 용기를 보관하며 자신의 기록을 이어왔다.2022년 5월 17일에는 매일 빅맥을 먹은 지 50주년을 스스로 기념하기도 했다. 고르스키는 "반세기 동안 빅백을 먹지 않은 날이 겨우 8일뿐이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처음 빅맥을 먹었던 순간 '아마 평생 이걸 먹을 거야'라고 생각했다"고 전했고, 이후 매일 매장을 찾으면서 해당 매장엔 그의 초상화를 걸어두기도 했다.많은 사람이 그의 건강에 대해 우려를 표했지만 놀랍게도 고르스키의 건강 상태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르스키의 아내 메리는 "의사로부터 남편의 혈당이 정상이고 콜레스테롤 수치도 의외로 좋다는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고열량에 나트륨이 많은 패스트푸드는 비만, 고혈압, 심장 질환 등 여러 질병을 부르지만, 고르스키에게서는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고르스키는 꾸준히 '걷기' 운동하고, 감자튀김을 먹지 않은 걸 건강 비법으로 꼽았다. 고르스키는 "활동적인 편이라 매일 9㎞ 정도를 걸으며 이웃들과 대화했다"며 "매일 빅맥을 먹
세계 주식 기행 : 세계 최대 단체급식 기업 영국 컴패스그룹 [LON: CPG]지난달 '한화 3세' 김동선 부사장이 이끄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국내 2위 단체급식 업체인 아워홈 인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한화그룹은 원래 푸디스트라는 식자재 유통회사를 갖고 있었습니다. 푸디스트는 2020년 사모펀드 VIG파트너스에 팔렸고, 지난해 다시 사조그룹에 매각됐습니다.한화그룹이 단체급식 사업을 다시 시작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물론 김동관(조선·방산), 김동원(금융) 두 형에 이어 김동선 부사장(호텔·레저·푸드)의 승계 밑그림을 그리려는 목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고 경기 둔화로 외식 부담이 커지면서 가성비 좋은 단체급식 수요가 커졌습니다. 영세업자들이 운영하던 식자재 유통도 대형 업체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단체급식 시장이 한화가 떠났던 5년 전과 다른 시장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삼성웰스토리, CJ프레시웨이 같은 대형 단체급식 업체들은 최근 해외 진출에 나서는 등 규모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 단체급식 시장은 영국의 컴패스그룹이나 SSP그룹, 미국 US푸드, 프랑스 소덱소 등 이미 글로벌 기업들이 국경을 넘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영국의 컴패스그룹은 2024 회계연도에 421억7600만달러(61조8004억원)의 매출을 올린 세계 최대 단체급식 업체입니다. 영업이익은 29억9800만달러로 전년보다 15.7% 증가했습니다. 참고로 국내 1위인 삼성웰스토리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이 3조1818억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3조원을 넘겼습니다. 글로벌 음식 서비스 시장은 대략 3200억달러로 추정됩니다. 컴패스그룹의 비중이 15% 미만입니다.컴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