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대표 성악가 100人, 우리 가곡 100曲 릴레이 열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마포문화재단 '한국 가곡 르네상스' 공연
9월20~22일 마포아트센터서 총 5회
한국가곡 탄생 100주년 기념 무대
9월20~22일 마포아트센터서 총 5회
한국가곡 탄생 100주년 기념 무대

마포문화재단은 오는 9월 20일부터 사흘간 서울 마포아트센터 플레이맥에서 ‘100인의 성악가가 부르는 100곡의 한국 가곡 르네상스’ 공연을 펼친다. 이 재단이 일상에서 즐길 수 있는 ‘동네 클래식’을 표방하며 올해 4회째 여는 ‘엠팻(M-PAT) 클래식음악축제’의 정점을 찍을 무대다. 5회 공연으로 구성해 회당 20명의 성악가가 한 명씩 차례로 무대에 올라 각기 다른 20곡의 가곡을 들려준다. 5회 공연을 모두 관람하면 대표적인 우리 가곡 100곡을 전부 감상할 수 있다.
ADVERTISEMENT
100곡의 노래는 ‘가고파’ ‘그리운 금강산’부터 ‘남촌’ ‘선구자’ ‘고향 생각’ ‘진달래꽃’ 등 귀에 익은 한국 가곡 80곡과 현대 창작 가곡 20곡으로 구성했다. 박수길 전 단장은 “장일남의 ‘나그네’, 김연준의 ‘청산에 살리라’, 김동진의 ‘수선화’ 중 한 곡을 부르고 싶다고 신청했는데 어떤 곡을 부르게 될지는 아직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1990년대 이후 대중음악의 물결에 밀려 많은 사람의 관심에서 멀어진 가곡의 현실이 안타깝다”며 “이렇게 신선한 기획으로 함께 우리 가곡을 즐길 수 있는 무대가 마련돼 반갑다”고 했다.
매회 마지막엔 ‘봉선화’를 그날의 출연자 전원과 관객이 함께 부른다. ‘봉선화’는 당시 유행하던 창가와 같은 4·4조의 노랫말을 지녔지만 창가를 뛰어넘는 음악성과 특유의 감수성으로 근대 가곡 1호로 꼽힌다. ‘한국가곡 르네상스’ 추진위원을 맡은 바리톤 우주호는 “200석 규모 소극장에서 1인 1곡씩 독창하며 무대가 계속 전환되는 형식이어서 의사소통과 일정 잡기, 곡 배분 등이 쉽지 않은 작업”이라며 “그럼에도 한국 가곡의 예술적 가치와 민족과 희로애락을 함께해온 의의를 되새기는 차원에서 의미가 큰 무대”라고 말했다. 공연은 다음달 초 엠팻 축제 홈페이지에서 선착순으로 예약을 받아 무료로 진행한다.
ADVERTISEMENT
이창기 대표는 “지난해까지는 무료 공연이 많았지만 예약을 해놓고 안 오는 ‘노쇼’를 줄이기 위해 최소한의 관람료라도 받는 것”이라며 “공연장뿐 아니라 시장과 공원, 학교와 교회에서 선보이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클래식에 대한 선입견을 없애고 장소를 재발견하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