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일보, 한일 관계 경색 집중 보도…"대만 어부지리 가능성"
中매체, 日수출 규제에 "경제 마찰로 한일 관계 긴장 고조"
중국 관영 매체들은 지난 1일 일본 정부가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3개 품목에 대해 사실상 금수 조치에 해당하는 수출 규제 조치를 발표하자 경제 마찰이 한일 관계의 긴장을 가속하고 있다며 주목했다.

3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는 국제면 기사에서 일본 정부가 일제 강제노역 피해자에 대한 한국 대법원의 배상 판결이 나온 지 8개월여 만에 경제보복 조치에 나섰다며 양국 관계 경색을 집중적으로 보도했다.

인민일보는 한국 외교부가 일본 정부의 수출 제한 조치 철회를 요구했다는 내용과 일본이 한일 간 강제노역 배상 판결 문제 등 외교 문제를 경제 분야로 확대해 한일 간 긴장을 고조시켰다는 한국 언론의 보도를 자세히 전했다.

이 신문은 "지난해 이래 한일 관계가 지속해서 나빠지고 일련의 외교 분쟁으로 양국 간 갈등이 이어지면서 상호 신뢰가 줄었다"면서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지 못한 점을 대표적인 사례로 꼽았다.

중국중앙TV 또한 지난 1일 일본 정부의 대한국 수출 규제 발표가 나온 뒤 주요 뉴스로 보도하면서 이로 인해 삼성 등 한국의 반도체 기업의 타격이 클 것이라는 전망을 했다.

관찰자망(觀察者網)은 일본의 한국에 반도체 부품 수출 규제로 대만이 어부지리를 얻을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으면서, 한국이 전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높아 이번 사태는 애플 등 미국 등으로 파급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중국 온라인상에서는 일본의 대한국 반도체 부품 수출 규제로 삼성도 미국에 당했던 화웨이(華爲)나 ZTE(중싱<中興>통신)처럼 되는 게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