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 피해 기념행사 이례적 실내로 옮겨…캐리 람 "공동체 의견에 더 가까이"
일부 강경 시위대, 초유의 입법회 점거…경찰 진압 경고에 긴장 고조
홍콩 반환 22주년 기념일에 55만명 다시 거리로(종합2보)
홍콩 주권 반환 22주년일인 1일 수십만명으로 추산되는 홍콩 시민들이 다시 거리로 쏟아져 나와 '범죄인 인도 법안'(일명 송환법) 완전 철폐, 캐리 람 행정장관 사퇴 등을 촉구하는 행진을 벌였다.

홍콩 정부가 주관하는 주권 반환 공식 기념 행사는 시민들의 격렬한 시위를 피해 이례적으로 실내행사로 대체됐다.

1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홍콩 정부는 이날 오전 홍콩 컨벤션 센터에서 홍콩 정치인, 경제계 인사, 중국 정부 대표단 등 수백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2주년 홍콩 주권 반환 기념행사를 소규모로 개최했다.

홍콩 반환 22주년 기념일에 55만명 다시 거리로(종합2보)
전통적으로 홍콩 주권 반환 기념행사는 일반 시민들이 대거 참여한 가운데 야외에서 대규모로 치러졌다.

하지만 이날 행사는 홍콩 전역에 시위 진압 장비를 갖춘 경찰관들 수천 명이 배치된 가운데 이례적으로 실내행사로 치러졌다.

홍콩 정부는 새벽에 내린 비 탓에 행사 장소를 변경했다고 공식적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홍콩 언론들은 '범죄인 인도 법안'(일명 송환법) 반대 시위대가 주권 반환 기념행사를 무산시키겠다고 예고하면서 이번 행사가 삼엄한 경비 속에 실내행사로 대체됐다고 지적했다.

행사 참석자들은 실내에 설치된 대형 화면을 통해 골든 보히니아 광장에서 진행된 국기 게양식 장면을 지켜보고 축배를 들었다.

홍콩 반환 22주년 기념일에 55만명 다시 거리로(종합2보)
국기 게양식에서는 여느 때와 같이 홍콩 자치행정구 깃발과 중화인민공화국 국기인 오성홍기(五星紅旗)가 나란히 올라갔다.

케리 람 행정장관은 기념사를 통해 최근 홍콩에서 송환법 반대 움직임이 거세게 인 것과 관련해 시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겠다는 입장을 재차 천명했다.

그는 "최근 발생한 사건으로 대중과 정부가 갈등을 빚었다"며 "정치인으로서 항상 대중의 감정을 알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나에게 일깨워줬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 사건 이후로 나는 향후 정부의 업무가 공동체의 의견과 감정에 더욱 가까워져야 한다는 교훈을 배웠다"고 덧붙였다.

이날 많은 홍콩 시민들은 오후부터 거리로 나와 밤 늦게까지 송환법 완전 철폐, 캐리 람 행정장관 사퇴, 경찰의 강경 시위 진압 책임자 처벌, 직접 민주 확대 등을 요구하면서 빅토리아 공원에서부터 센트럴 지역까지 행진했다.

교사인 코마스 람은 SCMP에 "캐리 람 장관은 언제나 기꺼이 듣겠다고 얘기하지만, 그녀는 진정한 질문에 실제로 대답한 적이 한 번도 없다"며 "더는 안 된다"고 말했다.

집회 주최 측과 경찰 측은 각각 이날 참석 인원이 55만명, 19만명으로 추산했다.

전체적으로 이날 행진은 평화적으로 진행됐지만 이와 별도로 일부 강경 시위대는 새벽부터 애드미럴티에 있는 입법회 건물 인근 도로를 점거하고 경찰과 충돌하며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

홍콩 반환 22주년 기념일에 55만명 다시 거리로(종합2보)
검은 옷을 입은 시위대는 바리케이드를 치고 도로를 점거한 채 시위를 벌이다가 해산 작전에 나선 경찰과 격렬한 몸싸움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경찰은 최루액 스프레이와 곤봉 등 진압 장비를 사용하면서 시위대 일부를 체포했다.

시위대 중 여러 명이 다쳐 병원으로 옮겨지기도 했다.

SCMP는 경찰 관계자를 인용해 시위대가 화학 세척제로 추정되는 액체를 경찰관들에게 뿌려 경찰관 13명이 호흡 곤란이나 피부가 부풀어 오르는 증세 등을 보여 병원으로 옮겨졌다고 밝혔다.

경찰과 송환법 반대 시위대 간에 이처럼 격렬한 충돌이 빚어진 것은 지난달 12일 이후 처음이다.

특히 이날 시위대 일부는 경찰의 저지선을 뚫고 입법회 건물에 들어가 의사당 등 공간을 점거했다.

시위대에 점거돼 시설 일부가 파손되는 사태가 발생하자 입법회는 사상 최초로 적색경보를 발령했다.

홍콩 반환 22주년 기념일에 55만명 다시 거리로(종합2보)
시위대와 충돌을 우려해 일단 물러났던 경찰은 곧 강제 해산에 들어갈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서 현장에서는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