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고령보·달성보·합천창녕보, 양수 제약수위로 운영
낙동강 3개 보, 녹조 대응 등 위해 내일부터 일부 개방
여름철 불청객인 녹조 대응 등을 위해 낙동강 3개 보가 일부 개방된다.

환경부는 물고기의 주요 산란기(5∼6월)가 지남에 따라 다음 달 1일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등 낙동강 3개 보 개방을 시작한다고 30일 밝혔다.

ADVERTISEMENT

이들 보는 다음달 4일부터 지상에서 농업용 양수 펌프를 이용해 물을 퍼 올릴 수 있는 수위인 양수 제약수위로 운영된다.

각 보의 양수 제약수위는 해발고도를 기준으로 강정고령보 18.25m, 달성보 13.5m, 합천창녕보 8.7m다.

다만, 합천창녕보는 어민의 피해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물 높이를 9.2m로 운영하되 녹조가 심해지면 보를 더 개방해 양수 제약수위인 8.7m로 낮출 계획이다.

ADVERTISEMENT

이들 3개 보는 그동안 양수 제약수위로 운영되다가 물고기 산란기를 맞아 어류가 물고기 길을 통해 상·하류 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5월 4일부터 수위를 높인 바 있다.

환경부는 이번 보 개방이 녹조에 대응하고 보 개방으로 인한 영향을 관찰하는 데 일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녹조에는 사람 몸에 치명적인 마이크로시스티스, 아나배나, 아파니조메논, 오실라토리아 등 독성물질이 포함돼 있다.

ADVERTISEMENT

녹조는 물흐름 속도가 느리고 인과 질소 같은 물질이 많은 환경에서 강렬한 햇볕이 내리쫴 수온이 25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왕성하게 자라난다.

환경부는 "낙동강 수계는 여름철 수질 관리를 위해 충분한 보 개방이 필요하지만, 현재는 양수장 가동을 위해 보 개방에 제약이 있다"고 전했다.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 양수장 개선을 위해 관련 지자체, 행정안전부 등 관계기관과 예산 지원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ADVERTISEMENT

홍정기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단장은 "낙동강은 겨울철 지하수를 이용한 수막 재배, 어류 산란기 등 다양한 여건을 고려해 보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며 "관계기관과 협력으로 양수장 시설을 개선해 탄력적인 보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낙동강 3개 보, 녹조 대응 등 위해 내일부터 일부 개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