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지도부에 대한 당내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내년 총선 ‘공천 룰’ 정비에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집단 반발할 조짐을 보이고 있고, 국회 파행 장기화에 대해 일부 비박(비박근혜)계 의원도 비판에 나서고 있다.

김진태 한국당 의원은 12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리 당은 지금 탄핵에 대한 입장이 명확하지 않은데, 어떻게 공천에서 탄핵 책임론을 이야기할 수 있냐”며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지도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다. 공천 룰을 논의하는 신상진 신정치혁신특별위원장이 최근 공천 원칙 중 하나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책임론 등을 거론한 데 대해 친박계인 김 의원이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이후 공천에서 친박계가 배제될 수 있다는 논란이 벌어졌고 친박계 홍문종 의원은 공천 논의 과정에 불만을 제기하며 탈당을 시사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또 “황교안 대표의 리더십에 대한 당내 반발이 상당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도 했다.

신 위원장은 이날 라디오에 출연해 “물갈이 폭이 클 것이란 취지로 얘기한 건데, 언론에서 ‘친박 학살’로 확대 해석한 것 같다”며 ‘친박 배제설’을 부인했다.

신 위원장의 해명에도 당내 친박계 의원들 불만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한 친박계 의원은 “(신 위원장이) 원론적 차원에서 책임론을 얘기한 것으로 생각한다”면서도 “공천은 객관적인 기준을 정해서 해야지 친박과 비박을 나눠 불이익을 주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친박계 의원실 관계자는 “내년 총선에서 이기기 위해 힘을 합쳐 나아가도 모자랄 판에 쓸데없는 말로 내분만 일으키는 것 같다”고 말했다.

친박계뿐만 아니라 일부 비박계 의원도 지도부 비판에 나서면서 황 대표 리더십이 시험대에 오르는 모습이다. 비박계로 분류되는 장제원 의원은 “지금 한국당엔 소위 ‘투톱(황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정치’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제왕적 대통령제를 비판하면서 정작 우리는 제왕적 당대표제, 제왕적 원내대표제를 운영하고 있다”고 지도부를 향해 날을 세웠다.

수면 아래 있던 당내 계파 갈등이 내년 총선 공천을 앞두고 다시 부각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금은 각 계파에서 지도부를 비판하는 방식으로 포석을 깔며 ‘견제구’만 던지고 있지만, 실제 공천 룰이 확정되는 과정에서는 계파별 갈등의 골이 깊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