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은 울산대 최경철 교수와 연세대 윤호근·정재호 교수 연구팀이 위암 전이를 일으키는 원인 유전자 기능을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전이성 위암의 경우 5년 생존율이 30% 미만에 불과하다. 치료를 위해서 현재 암 조직을 절제하는 외과적 수술과 항암 화학 요법이 주로 쓰인다.
연구팀은 'EPB41L5'라는 유전자가 위암 환자의 낮은 생존율과 관련이 깊다는 것을 확인했다.
EPB41L5를 비활성화하는 항체를 투여하면 위암 전이와 생존율 감소를 낮출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 결과 암 성장과 전이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형질전환 성장 인자(티지에프-베타) 영향으로 EPB41L5가 증가했다.
EPB41L5는 상피세포에서 간엽 줄기세포로 전환하는 상피·중배엽 전이를 통해 위암 세포 이동성과 침윤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EPB41L5 항체(단일 클론)를 이용해 동물 모델 실험을 했더니 위암 전이를 줄일 수 있었다고 재단은 설명한다.
새로운 위암 표적 치료 인자 가능성을 제시한 셈이다.
정재호 교수는 "위암 전이 표적인자를 발굴하고 핵심 기능을 규명했다"며 "새로운 위암 치료법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지원으로 수행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