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나이·말레이시아·캄보디아 순방…아세안과 관계 격상 주력
북미관계 급랭 속 '중재·촉진역' 고비…국내엔 다양한 난제 대기
아세안3국 협력심화로 新남방 박차…평화·비핵화 메시지는 후퇴
문재인 대통령이 브루나이·말레이시아·캄보디아로 이어지는 올해 첫 해외 순방을 마무리하고 16일(현지시간) 귀국한다.

6박 7일간의 3개국 방문에서 문 대통령은 각 나라와의 교류·협력 강화에 주력했다.

이런 '신남방정책'을 통해 한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구상이다.

반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대한 메시지는 이전 순방 때와 비교해 현저히 줄어든 모습이었다.

북미 관계 급랭에 따라 문 대통령의 중재·촉진 역할도 어려움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아세안3국 협력심화로 新남방 박차…평화·비핵화 메시지는 후퇴
◇ 아세안 국가들과 협력 심화…신남방정책 가속 페달
문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서 세 나라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 일정을 준비했다.

각 나라 사정에 맞는 협력사업 아이템을 준비해 이를 관계 강화의 발판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브루나이에선 한국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템부롱 대교' 건설 현장을 찾았다.

문 대통령은 "템부롱 다리야말로 개발·저개발 지역을 연결하는 균형발전 사업으로, 우리 정부가 추구하는 동반 및 포용적 성장의 좋은 사례"라며 근로자들을 격려했다.

문 대통령은 하싸날 볼키아 국왕과의 정상회담에서도 템부롱 대교를 언급하며 "앞으로도 주요 국가 발전 사업에 계속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했고, 볼키아 국왕도 인프라 사업에 한국이 참여하는 것에 환영의 뜻을 표했다.

문 대통령은 말레이시아로 이동해서는 한류·할랄(이슬람 율법에 의해 무슬림이 먹고 쓸 수 있도록 허용된 제품) 전시회에 참석해 한국기업들의 이슬람 시장 진출을 돕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청와대는 "세계 할랄 시장 규모는 약 2조 달러에 달하고 2022년에는 3조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보이는 등 잠재력이 크다"며 "이번 전시회는 말레이시아와 글로벌 할랄 시장 공동진출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과 마하티르 빈 모하맛 총리는 정상회담에서 할랄산업 관련 협력은 물론, 올해 말까지 양자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선언에 노력하기로 했다.

마지막 순방지인 캄보디아에서 문 대통령은 2019∼2023년 대외경제협력기금 차관 한도를 7억 달러로 증액하는 약정이 체결하는 등 관계를 두텁게 하는 데 주력했다.

청와대에서는 이번 순방을 통해 3개 국가와 협력기반을 다진 것이 결과적으로 한국과 아세안 전체와의 관계 격상으로 이어지리라는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아세안과의 협력을 4강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이 신남방정책의 목표"라며 "올해 말 예정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담과 한·메콩 정상회의는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고, 이번 순방은 그 여정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세안3국 협력심화로 新남방 박차…평화·비핵화 메시지는 후퇴
◇ 북미관계 급랭 속 평화·비핵화 메시지 쇠미…국내 난제 수북
이처럼 신남방정책을 위한 경제 행보는 활기를 보였던 반면, 순방의 또 다른 목표였던 '한반도 평화에 대한 지지 재확인'과 관련한 메시지는 이전 순방에 비해 비중이 현저히 줄었다.

지난 12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동포간담회에서 평화체제 관련 언급은 "여러분이 자랑스러워할 수 있는 조국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로 여러분의 성원에 반드시 보답하겠다"라는 두 문장에 그쳤다.

14일 캄보디아 동포간담회에서는 한반도 평화 관련 메시지가 나오지 않았다.

이런 변화에는 '하노이 핵 담판' 결렬을 기점으로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안보 정세가 급변했다는 점이 배경으로 지적된다.

북미 간 교착 국면을 타개할 실마리가 좀처럼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어떻게 돌파구를 찾을지에 대한 문 대통령의 고민이 결과적으로 메시지 감소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이럴 때일수록 섣부른 언급을 하기보다는 정교하게 전략을 가다듬어 메시지를 내야 한다는 입장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15일 캄보디아 총리와 정상회담 도중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의 '비핵화 협상중단 고려' 기자회견과 관련한 내용을 강경화 외교부 장관으로부터 보고받기도 했다.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큰 고비를 맞으면서 문 대통령의 귀국 발걸음도 가볍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비핵화 협상 외에 장관 인사청문 정국이 곧 시작되고 많은 경제·민생 현안 역시 문 대통령을 기다리고 있어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