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잡는 유전자가위’ 동물실험서 효과 입증…사람에게도 적용 가능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종필 동국대 교수·박한슬 박사과정 연구원

김종필 동국대 화학과 교수(왼쪽)는 최근 박한슬 박사과정 연구원(오른쪽)과 함께 실시한 뇌질환 치료 동물실험에 대해 13일 이렇게 설명했다.
ADVERTISEMENT
Bace1 유전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생성되는데 관여한다.
김 교수는 “실험쥐에게 이 방법을 쓰자 베타아밀로이드의 양이 급격하게 줄었고 그 결과 치매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며 “글로벌 제약회사 등의 투자를 받는다면 사람을 대상으로 한 치료법으로 발전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실험에서 김 교수는 동물 행동실험을 통해 이 치료법의 유효성을 확인했다. 그는 실험쥐에게 특정 장소를 기억하도록 한 뒤 스스로 찾아가게 했다. 치매 쥐는 해당 장소를 기억 못했지만 Bace1 유전자를 잘라낸 쥐는 건강한 쥐와 비슷하게 목적지를 찾아갔다.
김 교수는 “이전에도 Bace1 유전자에 작용하는 약물 임상이 있었지만 부작용이 심각해 상용화에 실패했다”며 “유전자가위 기술을 활용하면 정확히 표적만 잘라낼 수 있어 부작용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ADVERTISEMENT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