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하노이 2차 미·북 정상회담이 열리고 있는 기간에도 우라늄 농축시설을 가동하고 있었다고 아마노 유키야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사진)이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은 4일(현지시간) 아마노 사무총장이 발표한 분기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보고서는 “북한은 영변의 실험용 경수로 건설을 계속 하고 있다”며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핵농축시설을 계속 가동 중이라는 징후가 있다”고 주장했다. 아마노 총장은 다만 “IAEA가 북한의 이 같은 활동의 목적이 무엇인지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북한은 2009년 2차 핵 위기 당시 IAEA 사찰관을 추방했다. IAEA는 이후 위성사진 등을 통해서만 북한의 핵 활동을 감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마노 총장의 발언이 반드시 북한이 여전히 핵무기용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하고 있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다만 IAEA가 북한이 영변의 일부 시설만 중단하고 일부 시설을 여전히 가동하고 있다는 것은 많은 북한 핵프로그램 전문가들의 분석과 일치하는 것이라고 WSJ는 지적했다. 북한 핵프로그램 전문가인 지그프리드 헤커 박사도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북한이 영변과 한 곳 이상의 비밀 장소에서 고농축 우라늄 생산을 계속해왔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플루토늄을 생산하는 영변의 5㎿ 원자로는 지난해 12월 초부터 가동이 중단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사용 후 핵연료에서 플루토늄을 분리하는 재처리 활동의 징후도 없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노후화된 원자로에서 기술적 결함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이를 근거로 북한이 기술적 결함이 생긴 영변 핵시설로 미국과 핵 담판을 하려고 한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된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