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상공계와 시민단체 "르노삼성차 노사,조속히 분쟁 끝내주세요" 호소
사진설명: 부분파업으로 멈춰있는 부산 강서구 르노삼성자동차 생산공장.

“르노삼성자동차 노사는 빨리 상생할 수 있는 임금단체협약을 타결해주세요”(부산상공회의소)

“르노삼성차 장기간 노사분쟁 더 이상 안됩니다.부산시와 부산상공계가 중재에 나서 문제를 해결해야합니다.”(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르노삼성자동차 임단협 조속타결을 촉구하는 부산상공계와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는 4일 “조선과 자동차산업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부산매출 1위 기업인 르노삼성자동차마저 노사 갈등으로 지역경제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며 “서로 마음을 열고 조금씩 양보해 새로운 도약의 터전을 마련해 줄 것”을 호소했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허용도)는 4일 노사간에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르노삼성자동차 임금단체협약의 조속 타결을 촉구하는 부산상공계 호소문을 발표했다.

부산상의는 조선, 자동차 등 주력산업의 침체로 지역 제조업 전반에 장기불황의 그림자가 짙어지는 상황에서 부산 제조업을 대표하는 르노삼성자동차의 노사 대립이 격화되고 있는 것에 심각한 우려를 표시했다.

르노삼성차는 과거 부산경제의 도약을 위해 지역사회 전체가 나서 유치활동을 벌였고, 외환위기(IMF) 사태로 어려움을 겪을 때 부산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삼성차 살리기 시민운동’을 벌이는 등 단순한 지역기업의 차원을 넘어 부산경제의 버팀목이었던 만큼 이번 사태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점을 강조했다.

부산상의는 “부산공장의 파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된 지난해 말부터 누적된 협력사의 피해액이 1100억원을 넘고 있어 중소 협력업체들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나고 있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발전을 위해서라도 노사 양측이 대승적인 차원에서 협상에 적극 나서줄 것”을 요청했다.

허용도 부산상의 회장은 “노사 양측 모두 부산경제에서 차지하는 르노삼성차의 비중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한 발씩 양보해서 조속한 시일 내에 협상을 마무리 해 주길 바란다”며 “이번 사태의 원만한 해결을 계기로 르노삼성차가 세계 일류의 완성차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수준 높은 노사관계 형성에도 힘써 달라”고 말했다.

르노삼성차는 부산 수출총액의 20% 가까이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직접 고용인원 4300명, 부산․경남의 협력업체 직원수는 1만2000명에 이르는 등 지역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르노삼성차 노사가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 과정에서 심각한 마찰을 장기간 빚고 있다”며 “조금씩 양보해 장지간의 노사분쟁을 해결해달라”고 요청했다.

시민연대는 “르노삼성은 부산 경제를 지탱하는 한 축이며,부산 경남지역의 협력업체만 수백 곳에 이르며 일하는 근로자도 적지 않다”며 “협상이 끝내 타협점을 도출하지 못한 채 정면충돌 양상으로까지 이어진다면 결국 남은 것은 공멸이다”고 지적했다.

시민연대는 또 “노사 갈등이 장기화되며 본사에서 이 물량을 다른 나라 공장으로 옮길 수 있다는 이야기가 다시 나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부산·경남 협력업체들은 벌써 몸살을 앓고 있고,조업단축 업체가 점점 늘며 협력업체의 공장 가동률은 60%대로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부산공장에서 로그 생산이 중단되는 일이 발생한다면 르노삼성차는 물론이고 지역 협력업체와 부산경제 전체에 악영향이 일파만파로 퍼진다”며 “협력업체들은 르노삼성차 노사 갈등이 길어지면 자신들도 같이 죽을 수밖에 없는 만큼 노사는 서로 양보해 타협점을 찾고,부산시와 부산상의도 중재에 나서 해결출구를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