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영 금융위원회 금융혁신기획단장은 "전체 결제시장에서 간편결제 비중을 수년 내 20%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권 단장은 25일 금융위의 '금융결제 인프라 혁신 방안' 브리핑에서 "간편결제가 신용카드 중심의 고비용 결제시스템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이날 핀테크 기업은 물론 모든 은행이 전 은행권 계좌에 접근해 싼 수수료로 송금·결제 업무를 할 수 있는 오픈뱅킹 시스템 도입 방안을 발표했다.

다음은 권 단장과 일문일답

-- 지금도 비바리퍼블리카의 토스 서비스를 이용하면 은행 계좌에 접근할 수 있다.

▲ 토스는 펌뱅킹 방식이다.

개별 은행마다 일일이 제휴를 맺는 방식이다.

현재 토스 시스템을 구축하기까지 수년의 시간이 걸렸다.

그러나 오픈뱅킹 서비스를 이용하면 개별 제휴가 아니라 이 시스템에 들어와 있는 모든 은행 계좌에 접근할 수 있다.

펌뱅킹이 은행과 개별 업체의 전용도로라면 오픈뱅킹은 은행이나 핀테크 기업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고속도로라 보면 된다.

-- 수수료가 낮아지고 은행들 입장에서는 좋을 게 없을 것 같다.

▲ 수수료는 거래가 많아지면 얼마든지 낮출 수 있다.

또 거래가 늘어나면 건당 수수료가 크게 떨어져도 이익을 볼 수 있다.

은행들도 이를 이용해 은행끼리 경쟁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지금은 국민은행이 좋은 앱을 만들어도 국민은행 고객만 쓸 수 있지만, 앞으로는 모든 은행 거래자가 사용할 수 있으니 고객 확대 효과를 볼 수 있다.

-- 정부 정책으로 카카오페이나 네이버페이 등 대기업들이 수수료 인하 혜택을 보는데 이게 맞는 건가.

▲ 오픈뱅킹은 결제 인프라다.

좋은 인프라를 만들어 은행이나 핀테크 기업들이 지금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인프라를 쓰는데 대기업이라고 비용을 더 많이 내라고 하면 잘 납득이 안 될 것이다.

다만 소형 핀테크 기업은 더 싸게 이용하는 혜택은 줄 것이다.

-- 이번 대책으로 간편결제 업자가 기존 결제시스템을 얼마나 대체할 것으로 보는가.

▲ 현재 국내 결제시장은 약 연 1천조원 정도다.

이 중 신용카드가 650조원, 체크카드가 170조원, 나머지는 대부분 현금이다.

그런데 신용카드 결제시스템은 신용거래에 각종 가맹점 수수료가 들어가는 고비용 결제시스템이다.

우리 사회는 고비용 결제시스템에 너무 많이 의존하고 있다.

반면 간편결제는 편리하고 가격도 싸다.

앞으로 얼마든지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간편결제 비중을 수년 내 전체 결제시장의 2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 종합지급결제업을 도입해도 이자를 안 주면 누가 돈을 맡기려 할까.

▲ 지금도 선불결제는 미리 돈을 충전해 두지만 이자를 안 준다.

그런데도 이 규모가 점점 커진다.

이자를 지급하지 않아도 제공하는 서비스가 매력적이면 이용하려 할 것이다.

-- 핀테크 기업들이 은행 결제시스템에 접근한다면 보안 문제가 걱정된다.

▲ 이런 혁신 서비스에서 보안이 무너지면 모든 것이 무너진다.

강력한 보안과 표준화를 구축할 것이다.

또 금융보안원을 통해 높은 수준의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핀테크 기업 지원을 통해 보안을 강화할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