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의 인공지능 기술 개발자들이 중국 선전에 있는 ‘2012, 노아의 방주 연구소’ 명패 앞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선전=노경목 기자
화웨이의 인공지능 기술 개발자들이 중국 선전에 있는 ‘2012, 노아의 방주 연구소’ 명패 앞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선전=노경목 기자
중국 상하이에서 실제 도로를 달리는 자율주행차량이 화면에 들어왔다. 단순히 차량 자체만으로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전방에 있는 센서와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공유해 사고와 교통 정체에 대비했다. 일반적인 통신 인프라라면 데이터 전송 속도의 한계로 불가능한 기술이다. 화웨이의 인공지능(AI) 연구원들은 “5G(5세대) 통신기술을 적용했기에 가능한 것”이라며 “5G 통신 인프라의 유용성을 실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I와 빅데이터의 시대에 걸맞는 통신 인프라를 미리 준비하는 화웨이의 비밀 연구조직 ‘2012, 노아의 방주 연구소(2012연구소)’에서 본 풍경이다.

2012연구소는 캐나다, 영국, 프랑스 등 세계 11곳에 2만명에 이르는 연구원이 있는 대규모 조직이지만 외부에 모습이 공개되지 않았다. 화웨이의 미래 전략을 다듬고 실용화시키는 곳이기 때문이다. 화웨이는 2012연구소의 선전 본부를 역시 한국 매체에는 처음으로 한국경제신문에 공개했다.

연구소의 정체성은 이름에서 확연하게 드러난다. 자연 재해로 인류 문명이 종말에 이르는 헐리우드 블록버스터 ‘2012’를 2009년 관람한 런정페이 화웨이 회장이 이름을 정했다. 그는 “앞으로 데이터가 영화 속 홍수처럼 넘쳐날 것”이라며 “데이터 홍수에서 인류를 구원할 방주를 화웨이가 만들자”고 말했다.

2012년 설립된 2012연구소는 AI 등과 관련된 기초과학을 중심으로 한해 1000여편의 논문을 생산했다. 논문 대부분은 연구소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해 관련 연구자들과 공유하고 있다. 논문에서 제시된 기술 중 유용한 것은 자체적으로 상용화 가능성을 모색한다. 상하이에는 자율주행차, 항저우에는 스마트 시티 관련 테스트 배드를 구축해 다양한 기술을 실험하고 있다. 이같은 실증 과정에는 외부와의 협업이 필수적이다. 화웨이는 통신 장비업체인만큼 고객들의 데이터를 직접 수집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자율주행차는 아우디, 스마트 공항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는 등 협력 대상을 확대하는 이유다.

기존 통신 장비업체들이 통신업체들의 필요에 따라 장비를 공급했다면, 2012연구소는 앞으로 필요로 할 기술을 미리 연구해 고객에게 제안한다. 연구소 관계자는 “앞으로 AI가 전기나 인터넷처럼 보편화되는 시대가 올 것”이라며 “그 때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불편해하지 않도록 관련 기술을 미리 연구한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5G를 통해 세계 최초로 원격 로봇 수술에 성공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50㎞ 떨어진 거리에 있는 의사가 로봇팔을 이용해 아기 돼지의 간을 절제하는 수술을 한시간만에 성공시킨 것이다. 통신 속도는 물론 안정성이 뒷받침돼야 가능한 수술이었다. 5G가 아직 채 상용화되지 않은 가운데 5G로 어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지 보여준 사례다.
2012연구소는 딥러닝을 통한 검색엔진, 자연어를 이용한 컴퓨터와 인간 간의 소통, AI를 통한 스마트폰 사용환경 개선 등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모두 기초과학의 뒷받침이 있어야 한 발짝 더 앞서 나갈 수 있는 분야다.

선전=노경목 특파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