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REUTERS
사진=REUTERS
인도중앙은행(RBI)이 1년 6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깜짝 인하했다. 금융투자업계 전문가들은 또 다른 신흥국 진영에서도 금리 인하 움직임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RBI는 7일(현지시간) 통화정책위원회(MPC)를 열고 기준금리인 레포금리를 6.50%에서 6.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인도의 기준금리 인하는 2017년 8월 이후 처음이다. RBI는 통화정책 기조도 지난해 10월부터 유지한 '조정된 긴축'에서 '중립'으로 변경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에 대해 시장 예측을 비켜간 '깜짝 인하'였다는 평가를 내놨다.

서태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RBI가 시장의 예상보다 이른 시기에 금리를 내렸다"며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세가 지속된 점, 올 4~5월 총선을 앞두고 경기를 부양하고자 하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의지가 일정 부분 반영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다만 RBI의 금리 인하는 일회성일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전병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추세적 금리 인하를 전망하기에는 이른 시점"이라며 "(이번 금리 인하 요인은) 총선 전 경기부양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부분이 펀더멘털(내재가치) 요인보다 컸다"고 판단했다.

전문가들은 다른 신흥국 국가들도 정책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세계 경기 둔화 우려가 가중되는 가운데 미국의 통화 긴축 정책이 사실상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다는 분석과 함께 일부 신흥국이 금리 인하 대열에 합류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우려하던 자본유출과 환율 부담 등에서 벗어나 자국 경기 여건에 부합하는 통화정책을 취할 여지를 확인했다"며 "추후 경기 부양을 이유로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국가들이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인도에 이어 가깝게는 중국이 기준금리를 포함한 통화정책 완화에 나설 수 있고, 브라질 역시 잠재적인 기준금리 인하가 가능한 국가로 분류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김혜경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물가가 안정적이고 경기 부양 의지가 높은 신흥국 중심으로 통화정책이 변화될 것"이라며 "인도네시아 역시 물가와 환율 안정으로 통화정책에서 운신의 폭이 좀 더 커질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그는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연내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의 경우 아직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중론이다.

공 연구원은 "한국은 상대적으로 이들(브라질, 중국) 국가들에 비해 기준금리 인하 논의가 구체화될 여지는 낮아 보인다"며 "한국은행의 연간 기준금리 동결 전망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올해 첫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아직 금리 인하 카드를 꺼낼 때가 아니라고 선을 그은 바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당시 "금리 인하론이 일부에서 나왔지만 통화정책 기조는 여전히 완화적이고, 지금 기준금리 인하를 논할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자료=대신증권 제공
자료=대신증권 제공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