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초계기, 또 우리 함정 위협비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방부 "명백한 도발" 강력규탄
강경화 장관 만난 고노 日외무
"北문제 확실히 공조해야" 딴소리
강경화 장관 만난 고노 日외무
"北문제 확실히 공조해야" 딴소리
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가 우리 해군 함정(대조영함)을 향해 또다시 근접 위협비행하는 일이 발생했다. 지난달 20일 북한 어선을 구조 중이던 광개토대왕함에 대한 위협비행 논란이 벌어진 지 불과 한 달여 만이다.
서욱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육군 중장)은 23일 국방부 청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의 행위를 강력 규탄했다. 서 본부장은 “23일 오후 2시3분께 이어도 인근 해상에서 일본 초계기가 우리 해군 함정을 명확하게 식별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거리 약 540m, 고도 약 60~70m로 근접 비행을 했다”며 “명백한 도발행위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해상자위대는 지난달 20일 광개토대왕함이 한·일 간 중간수역이자 공해인 독도 동북방 100마일에서 북한 어선 구조작업을 할 당시에도 거리 500m, 고도 150m로 저공비행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 측은 우리 군함이 사격통제용레이더(STIR)를 쐈다며 강하게 항의했다. 국방부는 STIR을 쏜 적이 없으며, 오히려 일본이 근접 위협비행했다고 반박했다.
서 중장은 “작년 12월20일 일본의 저고도 근접 위협비행과 관련해 그동안 우리 한국은 인내하면서 절제된 대응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이달 18일과 22일에도 우리 해군 함정에 대해 근접 위협비행을 했다”고 말했다.
이날 일본 초계기의 저공비행은 광개토대왕함에 대한 것보다 위협적이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전투기나 초계기 등 군용기가 함정에 바짝 붙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공격행위로 오인돼 우발적 충돌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3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30분간 양자회담을 하고 “오늘을 포함해 세 차례 일본의 초계기 저공비행이 있었다”며 “상황이 정리가 안 되고 진행되는 것에 대해 우려스럽게 생각하고 유감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고노 외무상은 “엄중한 상황이지만 얼굴을 맞대고 얘기할 수 있는 것은 의미가 있다”며 “북·미 간 움직임을 포함해 북한 문제에 대해서도 (한·일 양국이) 확실히 공조를 확인하자”고 답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서욱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육군 중장)은 23일 국방부 청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의 행위를 강력 규탄했다. 서 본부장은 “23일 오후 2시3분께 이어도 인근 해상에서 일본 초계기가 우리 해군 함정을 명확하게 식별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거리 약 540m, 고도 약 60~70m로 근접 비행을 했다”며 “명백한 도발행위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해상자위대는 지난달 20일 광개토대왕함이 한·일 간 중간수역이자 공해인 독도 동북방 100마일에서 북한 어선 구조작업을 할 당시에도 거리 500m, 고도 150m로 저공비행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 측은 우리 군함이 사격통제용레이더(STIR)를 쐈다며 강하게 항의했다. 국방부는 STIR을 쏜 적이 없으며, 오히려 일본이 근접 위협비행했다고 반박했다.
서 중장은 “작년 12월20일 일본의 저고도 근접 위협비행과 관련해 그동안 우리 한국은 인내하면서 절제된 대응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이달 18일과 22일에도 우리 해군 함정에 대해 근접 위협비행을 했다”고 말했다.
이날 일본 초계기의 저공비행은 광개토대왕함에 대한 것보다 위협적이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전투기나 초계기 등 군용기가 함정에 바짝 붙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공격행위로 오인돼 우발적 충돌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3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30분간 양자회담을 하고 “오늘을 포함해 세 차례 일본의 초계기 저공비행이 있었다”며 “상황이 정리가 안 되고 진행되는 것에 대해 우려스럽게 생각하고 유감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고노 외무상은 “엄중한 상황이지만 얼굴을 맞대고 얘기할 수 있는 것은 의미가 있다”며 “북·미 간 움직임을 포함해 북한 문제에 대해서도 (한·일 양국이) 확실히 공조를 확인하자”고 답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