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이 16일 창립 50주년을 맞아 50년 사사(社史)를 전 임직원에게 배부했다.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오른쪽)이 본사 영업부를 방문해 직원들에게 사사를 전달하고 있다.  /NH투자증권 제공
NH투자증권이 16일 창립 50주년을 맞아 50년 사사(社史)를 전 임직원에게 배부했다.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오른쪽)이 본사 영업부를 방문해 직원들에게 사사를 전달하고 있다. /NH투자증권 제공
NH투자증권이 16일 창립 50주년을 맞았다.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두는 등 1969년 출범 이후 한국 자본시장 발전과 함께하며 국내 굴지의 대형 증권사로 성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취임 2년 차인 정영채 사장이 ‘고객 가치’에 방점을 둔 경영철학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시장 파급력이 큰 금융상품도 적극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NH투자증권은 이날 연 5% 금리의 발행어음 등 특판 상품을 내놨다.

차분하게 맞이한 50주년

'창립 50주년' NH증권…年 5% 발행어음 특판
‘반세기’ 생일을 맞은 이날 NH투자증권 영업점은 여느 때와 다를 바 없이 차분했다. 정 사장이 본사 영업부를 찾아 50주년 기념 사사(社史)를 직원들에게 증정하는 행사만 열었다. 창립 행사를 간소화한 대신 임직원들이 경영 비전을 공유하는 데 신경 쓰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금융투자업의 본질은 돈이 아니라 고객을 관리하는 것이라는 게 정 사장의 지론”이라며 “고객 가치를 높이기 위한 전략에 비중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NH투자증권은 50주년을 기념해 경기 고양시 일산 NH인재원에 ‘역사관’도 열었다. 인재원 지하 1층에 약 100㎡ 규모로 조성된 역사관은 창립 초기부터 현재까지 시대별 연표와 각종 사료 전시, 체험의 장 등 총 8개 코너로 구성됐다. NH투자증권은 1969년 12개 보험사가 공동 출자해 설립한 한보증권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후 인수합병을 거치며 대보증권, 럭키증권, LG증권, LG투자증권 등으로 상호가 바뀌었다. LG투자증권은 2003년 ‘카드대란’으로 위기를 맞았다. 그해 우리금융그룹에 편입됐고, 2005년 4월 우리투자증권이 정식 출범됐다. 이후 우리금융 민영화에 따라 2014년 말 NH농협금융지주로 넘어갔다. 그해 우리투자증권과 NH농협증권의 합병으로 NH투자증권이 재탄생했다. 2017년 11월엔 자기자본 4조원의 요건을 갖춰 ‘초대형 투자은행(IB)’으로 지정됐다.

지난해 정 사장이 취임한 후 성장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자기자본 약 5조원(작년 3분기 기준)으로 미래에셋대우에 이어 업계 2위다. 지난해 5월 단기금융업 인가를 받아 발행어음 사업을 시작했고, 7월 주택도시기금 전담운용사로 선정돼 4년간 19조원의 자금을 위탁 운용하는 성과도 냈다. 회사 관계자는 “작년 3분기까지 누적 순이익이 3498억원으로, 이미 전년 연간 순이익을 넘어섰다”며 “지난해 창립 이래 최대 실적을 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작년 창립 이래 최대 실적”

NH투자증권은 이날 고객을 위한 파격적 조건의 특판 상품도 내놨다. ‘NH QV 50주년 적립형 발행어음’은 금리가 연 5%(1년 만기)에 달한다. NH투자증권의 신규 고객(휴면 고객 포함) 5000명에게 선착순으로 매수 기회가 제공된다. 1인당 월 최대 50만원, 연 600만원까지 가입할 수 있다. 온라인으로만 신청받는 상품이다. 발행어음은 초대형 IB 가운데 단기금융업 인가를 받은 회사가 자기 신용을 기반으로 발행하는 어음을 말한다. 만기 도래 시 원금과 약정 수익을 받아갈 수 있다. 함께 선보인 ‘특판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 1661호’는 코스피2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5개월 만기 금융상품이다. 기초자산지수가 만기 평가일(6월19일 예정)에 최초 기준지수의 200% 이하면 1.25%(연 환산 3.0%) 수익률을, 200%를 넘기면 1.26%(연 3.03%)를 지급하도록 설계됐다. 청약은 오는 21일까지다. NH투자증권 측은 “원금이 보장되면서도 수익률이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정 사장은 올해 조직의 대대적 체질 개선을 예고하고 있다. 작년 말 ‘기관 영업의 달인’으로 통하는 김태원 홀세일사업부 대표를 외부에서 영입하는 등 인사를 단행했다. 자산관리(WM) 부문에서 임직원들의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인 핵심성과지표(KPI)도 올해 폐지하기로 했다. KPI가 인사평가에 효율적일 수는 있지만 정작 투자자들의 수익률을 높이는 효과는 부족하다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