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사진=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KB국민은행 노사가 총파업을 하루 앞두고 막판 협상 중인 가운데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고객 불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7일 금융권에서는 오는 8일 국민은행 총파업이 현실화된다면 대출과 외환 관련 업무에서 고객 불편이 빚어져 은행의 신뢰도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국민은행은 파업이 시행될 경우에 대비해 지난달 28일부터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대응방안을 준비 중이다.

고객이 거래영업점에서 업무 처리가 어려워질 경우 해당 업무 처리가 가능한 인근 영업점으로 고객을 안내하거나 거점점포를 통해 업무를 처리한다는 안 등을 놓고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은행은 입·출금과 계좌이체 등 단순 업무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나 인터넷·모바일 뱅킹 등 비대면 채널 서비스로도 유도할 계획이다. 정보기술(IT)센터 인력에서 KB데이터시스템 등 외주업체 비중이 높은 만큼 전산에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거점점포를 운영하더라도 일부 영업점 업무가 정지하게 되면 인근 지점 고객의 불편은 막을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출 관련 업무, 특히 영업점을 방문해야 하는 기업대출과 관련해서는 일부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은행업계의 관측이다. 외환업무 역시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됐다.

은행 콜센터도 파업 관련 문의가 몰리며 평소보다 연결에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국민은행 점포 수는 지난해 11월 말 기준으로 1057곳에 달한다.

이날 일부 지점에서는 총파업에 대비해 관련 사과문을 게시하고 있다. 다만 홈페이지와 모바일뱅킹 앱 등을 통해서는 총파업에 대해 공지하지 않은 상태다.

한 은행업계 관계자는 "브랜드 이미지, 은행 신뢰도 등을 고려하면 파업으로 인한 피해 예상 규모는 추산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민은행 노사 지도부는 이날 오후 2시30분 현재 막판 협상 중이다. 이날 저녁 파업 전야제, 8일 총파업 계획을 감안하면 마지막 협상인 셈이다.
사진=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사진=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