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크대 조사…"美 49%, 유럽 67%, 아시아 54% 경기후퇴 전망"
글로벌기업 재무책임자 절반 "내년까지 경기후퇴 닥칠 것"
세계 주요국 기업 최고재무책임자(CFO) 절반은 내년 말까지 자국 경제에 경기후퇴가 닥칠 것으로 전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2일(현지시간) 미국 듀크대의 분기별 'CFO 글로벌 비즈니스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210여 개 미국기업 CFO의 48.6%가 내년 말까지 미국의 경기후퇴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말까지 자국 경제에 경기후퇴가 닥칠 것으로 보는 CFO들의 비율은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각각 66.7%, 54%로 미국보다 높았다.

또한 2020년 말까지 자국에서 경기후퇴가 시작할 것이라는 응답률은 미국 81.9%, 아시아 84.8%, 유럽 75.3%로 올라갔다.

직전 조사 때보다 미국 경제를 더 낙관한다는 응답자는 16.6%에 그쳐 지난 9월 조사(43.6%) 때보다 크게 줄어든 반면 덜 낙관한다는 응답률은 23%에서 45%로 치솟았다.

아시아에서도 직전 조사 때보다 자국 경제를 더 낙관한다는 응답률은 16.2%로 9월(21.8%)보다 떨어졌을 뿐 아니라 덜 낙관한다는 응답률은 64.3%에 달했다.

이 조사를 담당한 캠벨 하비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경기후퇴를 전망할) 모든 재료가 있다"며 "거의 10년 전 시작돼 시들해진 확장세, 시장 변동성 고조, 성장을 방해하는 보호주의의 타격, 지난 50년간 불황을 정확히 예측했던 (국채) 수익률 곡선 평탄화"를 꼽았다.

기업 경영진들은 무역 전쟁을 큰 걱정거리로 꼽았다.

'정부 정책'을 근심으로 지목한 미국기업은 32.1%로, '자질 있는 인력 확보'(46.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관세'와 '무역 이슈'를 꼽은 기타 응답도 상당수였다.

그러나 '채무 비용'을 가장 우려한다는 응답은 10위 안에 들지 못했다.

아시아 기업들은 '경제 불확실성'(55.1%)을 가장 우려하며 '자질 있는 인력 확보'(28.3%), '환율 리스크'(27.1%), '정부 정책'(25.1%)에 대한 우려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