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을 출발해 서울로 향하던 KTX열차가 탈선했다.

8일 오전 7시 35분께 강원 강릉시 운산동 일대 강릉선 철도에서 승객 198명을 태운 서울행 KTX 806호 열차가 탈선했다. 이 열차는 오전 7시 30분 강릉역을 출발해 서울역에 오전 9시 30분 도착할 예정이었다. 강릉 분기점에서 남강릉역 사이에서 벌어진 이번 사고로 열차 10량 모두 선로를 이탈했다.

기관차 등 앞 2량은 'T'자 형태로 꺾였고, 선로가 파손됐다. 열차가 들이받은 전신주는 완전히 쓰러져 휴짓조각처럼 변했다. 당시 열차는 시속 103㎞로 달린 것으로 전해졌다.

큰 사고였지만, 다행히 인명피해는 크지 않았다. 승객 및 승무원 14명이 부상을 입어 소방당국의 도움으로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다. 기관차가 심하게 꺾이면서 기관사 윤모(44)씨도 오른쪽 골반 골절상을 입었으나 큰 부상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4호 차에 타고 있던 승객 이모(45·여·강릉시)씨는 “출발 6∼7분 후 충격 때문에 급제동하는 소리가 들린 뒤 '쿵쿵'하는 느낌이 3∼4차례 이어지고서 멈췄다”며 “타고 있던 열차가 왼쪽으로 살짝 기울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승객 채모(53)씨는 “8호 차에 있었는데, 출발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드르륵거리면서 흔들거리더니 앞쪽이 '쿵' 하며 말 그대로 엎어졌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승객 방모(22)씨는 “미끄러질 때 뒤집힐 것 같아 의자를 꽉 붙잡고 있었고, 일부 승객들은 비명을 질렀다”며 “열차가 멈췄을 때 열차 기장이 머리를 다친 것을 봤고, 일부 할머니도 머리를 다쳐 피를 흘리는 모습을 목격했다”고 설명했다.

이 사고로 현재 강릉선 진부역∼강릉역 구간에선 열차 운행이 중단됐지만, 서울역∼진부역 구간은 정상 운행하고 있다. 코레일은 승객 198명을 버스를 이용, 진부역으로 이동시킨 뒤 진부역에서 다른 KTX 열차로 갈아타도록 조치했다. 하지만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강릉에서 출발하는 승객들은 불편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국토부는 이날 오전 9시40분 위기단계를 주의경보로 발령하고, 철도안전정책관을 실장으로 상황실을 꾸렸다. 이후 오전 11시를 기준으로 경계단계로 높였다. 사고수습 지원과 현장 안전활동 등을 위해 김정렬 국토부 2차관과 황성규 철도국장을 비롯해 철도안전감독관 7명, 철도경찰 12명이 현장으로 출동한 상태다. 사고원인 조사를 위해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4명도 현장에 파견됐다. 코레일은 250명을 동원해 현장을 복구하고 있지만, 완전 복구는 10일 오전 2시께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KTX 탈선사고는 지난해 12월 22일 개통한 강릉선 KTX 열차의 사실상 첫 중대 사고로 기록될 전망이다. 올해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인 9월 26일 횡성군 KTX 둔내역과 횡성역 사이에서 서울로 향하던 KTX 열차 차체 아랫부분이 미확인 물체와 충돌하면서 1시간 40분가량 지연되는 사고가 있었지만, 탈선과 같은 중대사고는 이번이 처음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열차가 탈선한 원인은 현재 파악되지 않은 상태”라며 “최대한 빨리 수습을 완료해 불편이 없도록 하겠다"며 "현 시점에서 사고 원인은 파악되지 않은 상태로 국토부 항공 철도사고 조사위원회 조사를 거쳐 정확한 원인이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