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김소윤(38·사진)은 지난달 30일 제주 서귀포시에서 열린 《난주》(은행나무)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단순히 신앙소설로 보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올해 제주4·3문학상 수상작인 《난주》는 조선 후기 정약현의 딸이자 다산 정약용의 조카, 명망 있는 명문가 장녀였던 ‘정난주 마리아’의 삶을 따라간다. 소설은 신유박해로 남편 황사영이 처형당하는 등 집안이 몰락한 뒤 제주에서 관노비로 살아간 비극적 인생을 그려냈다.
기자간담회는 난주가 실제로 살았던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정난주 마리아묘’에서 열렸다. 《난주》의 원제는 ‘잊혀진 꽃들’이다. 정약용이나 정약전, 천주교도였던 황사영과 달리 난주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김 작가는 “엄청난 신분 추락을 겪은 정난주가 37년이라는 세월을 어떻게 보냈기에 주변의 사랑과 격려를 받고 살았을까 궁금했다”고 말했다.
짧은 역사적 사실 하나를 뼈대로 세우고 여기에 작가의 ‘상상력’을 입혔다. 소설 말미에 난주와 아들 경헌이 헤어진 지 37년 만에 해후하는 장면은 오롯이 상상으로 만든 허구다. 그럼에도 이 소설이 갖는 강점은 사실감이다. 작가는 역사 책과 논문, 방언사전 등을 참고해 역사와 종교는 물론 제주 풍습이나 방언까지 사실적으로 고증하고 복원했다. 정약현과 황사영이 등장한 김훈의 《흑산》을 비롯해 홍명희 《임꺽정》, 황석영 《장길산》 등 역사소설도 찾아 읽었다.
김 작가는 가장 애착을 느낀 장면으로 ‘난주가 아들 경헌을 추자도에 버리고 갈 때’를 꼽았다. 작품 속 난주는 아이를 꼭 안은 채 “좋은 날도 나쁜 날도 종국에는 흘러간다”며 “그늘도 음지도 해가 들면 다시 꽃을 피운다”고 되뇌인다. 그는 “경헌이 명예나 부를 생각하지 말고 평범하게 살아남길 바라는 어미의 마음을 담고 싶었다”며 “부모님이 제게 말해준 말이자 내 아이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라고 말했다.
난주가 아들 경헌을 그리워하며 보말, 연 등을 양자로 키우고 구휼소를 세우는 배경엔 천주교라는 신앙이 담겨 있다. 김 작가는 “난주는 나약한 여자이자 애절했던 엄마, 외로운 아내였지만 신앙인으로 그리고 싶진 않았다”며 “우리가 그를 기억하는 것도 그가 가진 신앙적 고귀함이 아닌 삶을 포기하지 않고 작은 재능과 사랑을 주변인들과 나누려는 ‘인간다움’ 때문”이라고 말했다.
제주=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