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발생한 KT 아현지사 통신구 화재는 서울의 4분의 1 남짓한 지역에 ‘디지털 블랙아웃(대정전)’을 초래했다. 단순한 통신망 두절에 그치지 않고 휴대폰, 인터넷, TV, 카드 결제 중단 등 파급력이 광범위했다.

5세대(5G) 이동통신이 상용화하면 통신장애가 생활에 미치는 범위는 훨씬 넓어진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초연결 사회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가 모두 5G 통신망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이다.

22일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인 아마존웹서비스(AWS)의 한국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장애는 초연결 사회 사고가 야기할 ‘공포’를 실감하게 했다. 이날 사고로 인터넷 뱅킹은 물론 O2O(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와 모바일 게임, 인터넷 서비스, 가상화폐거래소 등 수많은 서비스가 일시 중단됐다.

KT 아현지사 통신구 화재로 통신망이 손상되는 것과 같은 사고가 재발하면 5G 기반의 초연결 서비스들이 순식간에 일시 중지될지 모른다. 자율주행차가 멈춰서고 원격수술이 중단되는 등 대재난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대규모 인명 피해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만큼 5G 상용화를 앞두고 안전점검 계획과 피해 방지책을 철두철미하게 세워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안종주 한국사회정책연구원 사회안전소통센터장은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 사고가 생겼을 때 사회에 미치는 파급력은 20~30년 전보다 몇십 배 더 크다”며 “ICT는 수도, 가스, 전기 등처럼 공공재 성격이 있어 (관련 기업이) 일정 금액 이상을 반드시 안전에 투자하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