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北, 풍계리 핵실험장 외부참관단 방문 대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 보고
"핵·미사일 시설 주시…큰 변화 없어"
"가상통화 채굴 해킹 활용, 해킹메일 유포도"
"핵·미사일 시설 주시…큰 변화 없어"
"가상통화 채굴 해킹 활용, 해킹메일 유포도"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의 외부참관단 방문에 대비해 준비 활동을 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풍계리 핵실험장 외부참관단 방문은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4차 방북 당시 북미 간 합의된 사항이다.
국정원은 이날 내곡동 국정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보고했다고 정보위 간사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의원이 브리핑했다.
국정원은 "북한 핵·미사일 관련 시설을 정밀 추적 중으로, 북한이 비핵화 선행 조치로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쇄하고 동창리 미사일 시설을 일부 철거한 가운데 외부참관단 방문에 대비한 것으로 보이는 준비 및 정보활동을 하는 것이 포착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행동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영변 5MW 원자로를 비롯한 핵·미사일 시설을 면밀히 주시 중이며, 현재 큰 변화는 없다"고 말했다.
북한이 정보 절취와 금전 탈취를 위한 해킹을 지속하고 있으며 사회적 현안을 소재로 해킹 메일을 유포하거나 외화벌이를 위해 국내외 컴퓨터를 해킹해 가상통화 채굴에 활용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남북 긴장 완화 속에서 대북 조기 경보태세를 유지하는 한편 본격적인 비핵화에 대비해 핵·미사일 관련 시설에 대한 정밀 추적과 함께 핵·미사일 검증과 폐기를 위한 정보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최근 2년간 첨단기술 해외 유출사건 총 40건을 적발했으며 이중 중국으로의 유출이 28건으로 70%를 차지했다고 국정원은 보고했다.
자유한국당 간사인 이은재 의원은 "국정원이 작년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총 40건의 첨단기술 해외 유출사건을 적발했는데, 이 중에는 해외 유출 시 국가 안보와 국민 경제에 특히 영향을 미치는 국가 핵심 기술도 7건 포함돼 있다고 보고했다"고 언급했다.
또 해외에서 공공기관 전산망을 침해한 사건이 2016년 3500여건, 2017년 1970여건, 올해 들어 9월 말까지 650건으로 집계됐다고 덧붙였다.
국정원은 한반도 정세 변화에 따라 외교·안보 관련 정보 수집을 위한 해킹이 증가하고, 국민 생활과 밀접한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이나 인공지능 기술을 응용한 사이버 공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국정원은 이날 내곡동 국정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보고했다고 정보위 간사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의원이 브리핑했다.
국정원은 "북한 핵·미사일 관련 시설을 정밀 추적 중으로, 북한이 비핵화 선행 조치로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쇄하고 동창리 미사일 시설을 일부 철거한 가운데 외부참관단 방문에 대비한 것으로 보이는 준비 및 정보활동을 하는 것이 포착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행동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영변 5MW 원자로를 비롯한 핵·미사일 시설을 면밀히 주시 중이며, 현재 큰 변화는 없다"고 말했다.
북한이 정보 절취와 금전 탈취를 위한 해킹을 지속하고 있으며 사회적 현안을 소재로 해킹 메일을 유포하거나 외화벌이를 위해 국내외 컴퓨터를 해킹해 가상통화 채굴에 활용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남북 긴장 완화 속에서 대북 조기 경보태세를 유지하는 한편 본격적인 비핵화에 대비해 핵·미사일 관련 시설에 대한 정밀 추적과 함께 핵·미사일 검증과 폐기를 위한 정보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최근 2년간 첨단기술 해외 유출사건 총 40건을 적발했으며 이중 중국으로의 유출이 28건으로 70%를 차지했다고 국정원은 보고했다.
자유한국당 간사인 이은재 의원은 "국정원이 작년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총 40건의 첨단기술 해외 유출사건을 적발했는데, 이 중에는 해외 유출 시 국가 안보와 국민 경제에 특히 영향을 미치는 국가 핵심 기술도 7건 포함돼 있다고 보고했다"고 언급했다.
또 해외에서 공공기관 전산망을 침해한 사건이 2016년 3500여건, 2017년 1970여건, 올해 들어 9월 말까지 650건으로 집계됐다고 덧붙였다.
국정원은 한반도 정세 변화에 따라 외교·안보 관련 정보 수집을 위한 해킹이 증가하고, 국민 생활과 밀접한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이나 인공지능 기술을 응용한 사이버 공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