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가격 가장 많이 올라…수출 감소 대수 1위는 일본"

미국이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산 자동차의 수출 감소율이 가장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30일 '미 자동차 고관세 부과의 주요국 영향' 보고서에서 미국이 수입 완성차와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 대미 자동차 수출 감소율은 한국산이 22.7%로 가장 높다고 밝혔다.

국가별 수출 감소율은 일본 21.5%, 중국 21.3%, 독일 21.0%다.

보고서는 완성차 업체들이 25% 관세를 100% 소비자가격에 반영할 것으로 가정하고 수입차 가격이 1% 상승하면 수입량의 1.77%가 국산차(미국산)로 대체된다고 추정했다.

2017년 국가별 대미 자동차 수출 대수는 일본 196만대, 한국 72만대, 독일 71만대, 중국 4만대다.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감소율을 대수로 환산하면 일본 42만대, 한국 16만대, 독일 15만대로 일본이 가장 많다.

보고서는 25% 관세를 소비자가격에 100% 반영할 경우 한국산 자동차의 소비자가격 상승률이 23.9%로 가장 많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에서 만들어 미국에서 판매하는 자동차는 영입이익률이 4.3%로 주요국 중 가장 낮아, 관세에 따른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다.

나머지 생산국의 소비자가격 상승률은 멕시코 23.7%, 캐나다 23.5%, 일본 23.3%, 중국 23.1%, 독일 22.9%다.

작년 한국의 대미 완성차와 부품 수출액은 총 240억달러로 대미 총수출의 33.7%, 국내총생산(GDP)의 1.6%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미국의 수입차 고관세 부과가 한국의 자동차 수출, 생산, 일자리 등 산업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총 대미 수출에서 완성차와 부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일본(41.3%)이며 그다음이 멕시코 35.8%, 한국 33.7%, 독일 26.7%, 캐나다 20.7% 등이다.

무역협회 문병기 수석연구원은 "수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도록 한국은 관세 대상이 아님을 설득해나가는 동시에 시장 다변화, 기술경쟁력 확보, 글로벌 가치사슬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관세가 미국 내 자동차 소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25% 관세로 미국에서 생산해 판매하는 자동차의 소비자가격이 한 대당 평균 2만7천321달러에서 3만346달러로 3천25달러(11.1%)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수입차의 경우 평균 2만6천651달러에서 3만2천882달러로 6천231달러 오를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단기적으로 자동차 수요가 수입차에서 국산차(미국산)로 전환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부품 조달 비용 증가로 미국산 자동차의 글로벌 경쟁력과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봤다.
"미국 車관세 최대 피해자는 한국…수출 감소율 가장 커"
"미국 車관세 최대 피해자는 한국…수출 감소율 가장 커"
"미국 車관세 최대 피해자는 한국…수출 감소율 가장 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