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정기배송'으로 年매출 40억 일군 공대 청년
“당신이 마지막으로 꽃을 산 건 언제인가요.” 대답하는 데 한참 걸리는 사람이 많을 것 같다. 가족 졸업식 때 꽃다발을 사들고 갔거나 지인의 승진, 출산 같은 축하할 일이 생겨 꽃을 보냈거나 연인을 위한 깜짝 이벤트 때 구입했을 수도 있다.

‘꽃=선물.’ 뿌리 깊은 공식이다. 축하용이나 선물 말고 그냥 내가 사고 싶어서 구매한 경우는 얼마나 될까. 박춘화 꾸까 대표의 답이 예상 밖이다. 그 수가 적지 않고 앞으로 더 많아질 것이란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꽃 사진을 올리면 예전엔 ‘누가 줬어’라는 댓글이 주로 달렸지만 요즘은 ‘어디서 샀어, 여유 있어 보인다’는 반응이 먼저 온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ADVERTISEMENT

꾸까가 정기 배송해 주는 꽃다발.
꾸까가 정기 배송해 주는 꽃다발.
꾸까(핀란드어로 꽃)는 꽃 ‘구독 서비스’를 기반으로 커온 꽃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이다. 2014년 세워져 빠르게 성장했다. 1000만원으로 사업을 시작했는데 작년 매출이 40억원을 넘었다. 인터넷으로 꽃 구독을 신청하면 2주에 한 번씩 집, 사무실, 가게 등으로 꽃을 보내주는 서비스가 대표 상품이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이 4년 새 3만여 명으로 늘었다.

화훼업계에 꾸까가 일으킨 변화는 작지 않다. 일반적으로 국내 화훼산업은 사양 산업으로 분류된다. 경기 침체와 경조사 축소 여파로 생산액이 크게 꺾였다. 2005년 1조105억원에서 2016년 5600억원으로 급감했다. 이 기간 화훼농가도 1만2800여 곳에서 7800여 곳으로 줄었다.

박 대표는 작아지고 있는 화훼시장에 비집고 들어가 기존 업체들과 경쟁하지 않았다. 행사용이나 선물용이 아니라 ‘일상의 꽃’ 시장을 형성해 구독 서비스를 넘어 플라워클래스와 꽃 쇼룸으로 브랜드를 확장하고 있다.

ADVERTISEMENT

그는 ‘꽃=꾸까’라는 공식을 만들고 싶다고 했다. 꾸까를 브랜드 비즈니스라고 정리했다. 이 목표 아래 상품 목록을 짰고 서울 이태원과 광화문에 쇼룸을 냈다. 옷, 악기, 차 등 다른 상품은 대표 브랜드가 바로 떠오르는데 꽃은 아직 그런 게 없다는 설명이다.

박 대표는 화장품회사에서 일했다. 공대를 졸업한 뒤 아모레퍼시픽에서 근무하다가 화장품 구독 서비스인 글로시박스를 공동 창업했다. 화장품업계에서 일하면서 지켜본 화훼업계는 좀 특이했다. “모든 사람이 알 만한 브랜드가 없어요. 어디서나 주문이 가능한 꽃집도 없고요. 가격이 표준화돼 있지도 않습니다. 다른 상품과 달리 꽃값은 얼마인지 감이 안 잡혀요.”

그는 체계적이지 않은 시장 구조가 오히려 기회라고 봤다. “꽃을 화장품처럼 브랜드화하고 유통구조를 확립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소비자가 대략적인 가격을 인지할 정도로 산업적인 표준화가 가능해진다면 시장 상황이 달라질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ADVERTISEMENT

꽃 분야에 대표 브랜드가 없는 건 꽃의 90%가 경조사용으로 쓰이는 한국 현실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대형 경조사가 줄어들자 화훼산업이 곧바로 타격을 입었다. 박 대표는 이렇게 판단했다. ‘딱 기본 수요만 있는 시장, 뒤집어 보면 앞으로 개척할 여지가 큰 시장.’

유럽 꽃 수요의 40%는 일상에서 나온다. 한국인이 1년에 꽃에 쓰는 돈이 평균 1만3000원가량인 데 비해 유럽은 18만원에 이른다. 일본도 11만원이나 된다. 이게 한국 꽃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점을 방증한다고 그는 지적했다. “일본도 국민소득이 3만달러가 넘고 나서 1인당 연간 꽃 소비액이 11만원까지 가는 데 10년 이상 걸렸습니다. 우리나라도 꽃 소비가 빠르게 늘어나는 순간이 올 것으로 봅니다.”

꾸까가 도입한 꽃 구독 서비스는 이전까지 화훼업계에 없던 개념이다. 박 대표는 “꽃을 커피처럼 일상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찾다가 구독 모델을 고안했다”고 말했다. 반응은 뜨거웠다. 상품을 내놓고 SNS를 통해 홍보했는데 20~30대 여성들로부터 바로 호응을 얻었다. 가격은 1회에 1만원대에서 3만원대 사이다. 1회 구독할 수도 있고 6개월 정기 구독도 가능하다.

ADVERTISEMENT

기업을 대상으로 한 꽃 서비스에도 뛰어들었다. 신세계, 롯데백화점, BMW, 삼성전자 등이 주요 파트너다. 작년부터 추진한 기업 서비스는 전체 매출의 30%까지 올라왔다. 꾸까는 최근 기관투자가로부터 30억원을 투자받았다. 박 대표는 “꽃 스타트업이나 새로운 시도를 하는 화훼업체가 더 많이 생겨나야 한다”며 “그래야 경쟁을 통해 시장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FARM 고은이 기자

전문은 ☞ m.blog.naver.com/nong-up/221360755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