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8월 기준금리 또 동결…연 1.50% 유지(상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은은 31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한은 본부에서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통위 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연 1.50%로 유지했다.
ADVERTISEMENT
예상보다 심각해진 국내 경기 상황과 미중 무역분쟁 등 대외변수가 이번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시장에서는 분석하고 있다.
특히 이달 중순 발표된 7월 고용지표가 1997년 외환위기 직후 수준으로 곤두박질친 점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708만3000명으로 작년 7월보다 5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ADVERTISEMENT
한은에 따르면 8월 소비심리는 17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기업 체감경기지수 역시 18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집계한 7월 설비투자는 다섯 달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같은달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인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앞으로의 경기를 보여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전월 대비 동반 하락해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를 키웠다.
그동안 금융시장에서는 8월 금통위에서 한은이 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6∼21일 75개 채권 보유·운용 관련 기관 종사자 100명을 상대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82%가 한은이 8월 금통위에서 금리를 동결할 전망이라고 답했다.
ADVERTISEMENT
다만 대외변수에 따라 올 10월 혹은 11월 금통위 때 금리 인상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금리인상 요인으로는 대외금리차, 가계부채와 부동산 가격 상승 등이 꼽히고 있다.
ADVERTISEMENT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은이 하반기 금리인상 시그널(신호)을 준 바 있지만 최근 국내 경제지표 흐름과 보호무역주의 기조 등에 비춰 경기 하방 압력이 크다"며 "한은이 한미간 금리 격차에 대해 고민하겠지만 10월에 금리인상 시기를 놓치면 올해는 올리기 어려울 것 같다"고 전망했다.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 등을 고려하면 이달 초 정책여력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한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과 같이 한은도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시중에 풀린 유동성으로 인한 부동산 가격 상승은 소득주도성장 정책과 배치되지 않는 선에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며 "11월 초에 마무리되는 미국 중간선거가 (미중 무역분쟁 관련) 불확실성을 줄여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득주도성장 정책과 기준금리 인상이 궤를 달리하는 것은 아닌 만큼 11월 기준금리 인상 시도가 이뤄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다만 한은의 금리인상이 연내에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건설투자 급감에 고용부진까지 가세해 내수여건이 악화되고 있다"며 "한은의 당위론보다는 펀더멘털(기초체력)의 당위론으로 연내 금리동결을 전망한다"고 진단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