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경남 작년 예산보다 10배↑…그늘막 설치·도로 물 뿌리기 사용
폭염 상시화 대비해 일부 지자체 "내년도 관련 예산 늘리겠다"
1도라도 낮추자… 전국 지자체 유례없는 폭염에 예산 확보 안간힘
40도를 오르내리는 재난 수준의 폭염이 연일 이어지자 전국 지자체가 온도를 1도라도 더 낮추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일부 지자체는 작년보다 대폭 늘어난 폭염 대응 예산을 마련해 도로 물 뿌리기, 적조 방제 등 긴급 대응으로 피해 방지에 연일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충북도와 도내 11개 시·군은 올해 정부 특별교부세와 예비비, 재난관리기금 등 30억3천300만원을 폭염 대응 예산으로 확보했다.

지난해보다 10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도는 이 가운데 절반 정도를 그늘막 설치, 도로 물 뿌리기, 농업·축산 피해 예방 등에 쏟아부었다.

충북도 관계자는 "유례없는 폭염으로 올해 관련 예산이 대폭 늘었다"고 말했다.

경남도 역시 특별교부세와 예비비 등을 합쳐 작년보다 10배 가량 늘어난 19억3천만원을 폭염 대응 예산으로 마련해 무더위 쉼터 에어컨·선풍기 구매 등에 8억원 가량을 투입했다.

전남도는 예비비와 특별교부세 등 38억5천만원을 이미 집행했다.

축사 차광막, 스프링클러 등 가축 폭염 피해 예방 장비 지원에 18억원을, 시·군 폭염 관리 대책 지원비로 10억원을 썼다.

적조 방제, 양식장 등 고수온 피해 예방 지원, 도로 물뿌리기 등에도 적잖은 예산을 투입했다.

대구시도 자체 예산 28억8천만원과 행정안전부 특별교부세 8억4천만원을 폭염 예산으로 투입하고 있다.

여기에 재난관리기금 1억7천만원을 더 들여 도시철도 역사 대형선풍기 등 냉방시설 설치에 사용했다.

아직 예산이 부족한 상황은 아니지만 모자라면 재난관리기금으로 부족분을 충당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정부 특별교부세, 예비비, 재해구호기금 등 53억4천800만원을 시·군에 배정해 그늘막 설치, 도로 물 뿌리기, 농업·축산 피해 예방, 폭염대응 구급 장비 지원 등을 했다.
1도라도 낮추자… 전국 지자체 유례없는 폭염에 예산 확보 안간힘
올해 혹독한 폭염에 시달린 지자체 대부분은 내년에 관련 예산을 늘리거나 신설해 피해 예방에 신속하게 대처할 방침이다.

올해 폭염 관련 예산 10억여원을 지출한 대전시는 내년에 관련 예산을 대폭 증액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대전시 재난담당 관계자는 "올해 폭염을 예상하지 못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며 "더위가 끝나는 가을쯤 내년 폭염 예산 논의를 시작할 방침이다"고 했다.

울산시는 그동안 폭염 관련 예산을 15억원 안팎으로 책정했지만 올해는 폭염 대비 사업을 늘리면서 예산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내년도 예산은 아직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지만 올해보다는 더 많이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서 폭염을 자연재난으로 규정하면 내년에 폭염 관련 예산을 더 많이 확보할 수도 있다"며 "폭염 관련 법 개정 움직임을 주시하며 관련 예산을 융통성 있게 편성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경기도 자연재난담당 부서도 폭염이 상시화할 가능성이 높아 내년에 30억원 정도의 별도 예산을 편성해 30곳에 시범적으로 그린커튼, 쿨링포그, 쿨루프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후 성과를 분석해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폭염의 경우 당장 할 수 있는 것이 마땅치 않아 특별히 관련 예산을 편성하지 않고 있다"며 "하지만 앞으로는 폭염이 잦아질 것으로 보고 관련 예산 편성을 검토해 나갈 방침이다"고 밝혔다.

(김용민, 장영은, 임보연, 차근호, 조성민, 김광호, 전창해, 이승형, 손상원, 강종구, 김동민, 이재림, 김호천, 최수호 기자)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