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군 장성 76명 감축한다…병사 군복무 기간도 단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군 간부 비중, 작년 5.5%에서 2022년 8.8%로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날 송영무 국방부 장관은 국방개혁안 '국방개혁 2.0' 을 보고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1807/01.17397416.1.jpg)
국방부는 27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이런 내용이 담긴 '국방개혁2.0' 기본방향을 보고한 뒤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ADVERTISEMENT
국방부는 "2012년 최초 장군 정원 조정계획 수립 이후 2017년까지 감축된 8명을 포함할 경우 84명을 감축하는 것이다. 장군 정원 360명은 1970년대 중반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비전투부대의 장군 직위는 영관급으로 낮추되 전투부대의 부군단장과 상비사단 부사단장, 잠수함사령부 부사령관, 항공정보단장 등의 부지휘관을 모두 장군으로 편성하기로 했다.

ADVERTISEMENT
사회복무요원의 복무 기간은 24개월에서 21개월로, 보충역에서 편입된 산업기능요원은 26개월에서 23개월로 각각 단축할 예정이다.
현재 61만8천 명인 병력은 육군에서만 11만8천 명을 줄여 2022년까지 50만 명으로 감축하기로 했다.
ADVERTISEMENT
올해 40만6천 원인 병장 월급은 2022년까지 67만6천 원으로 인상된다.
전체 예비군은 275만 명을 유지하되, 동원예비군은 130만 명에서 95만 명으로 축소된다. 동원 기간도 4년에서 3년으로 준다.
ADVERTISEMENT
국방부는 "국방개혁2.0은 전환기의 안보 상황과 제한된 정책여건 속에서 평화롭고 강한 대한민국을 뒷받침할 수 있는 강한 군대, 책임 국방의 구현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라며 "국방개혁이 더는 지체할 수 없는 국민의 명령이자 시대적 소명임을 무겁게 인식하고, 단순한 개혁을 넘어 재창군한다는 신념을 지니고 국방개혁2.0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