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기 달고 판문점으로 > 경기 파주 통일대교 남단에서 15일 미군 차량 운전자가 임진강을 건너기 전 유엔 깃발을 달고 있다. 이 차량엔 미군 유해 송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미·북 판문점 회담 참석자들이 탄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
< 유엔기 달고 판문점으로 > 경기 파주 통일대교 남단에서 15일 미군 차량 운전자가 임진강을 건너기 전 유엔 깃발을 달고 있다. 이 차량엔 미군 유해 송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미·북 판문점 회담 참석자들이 탄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
미국과 북한이 15일 판문점에서 미군 유해 송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장성급 회담을 했다. 양측 간 장성급 회담은 9년4개월 만이다.

정부와 유엔군사령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께부터 미·북이 6·25전쟁 당시 북한 지역에서 전사한 미군 유해 송환과 관련한 회담을 했다. 이날 미·북은 유해송환 일정과 방식 등을 논의했다.

미국 측 대표단엔 마이클 미니한 유엔사 참모장(공군 소장), 북측 대표단엔 미국과 같은 급의 인민군 중장(한국의 소장)이 포함됐다고 정부 관계자들은 전했다. 북측 장성은 조선인민군 판문점대표부(KPA) 소속 인사 등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담은 당초 지난 12일 열릴 예정이었던 미군 유해 송환 실무회담에 불참한 북한이 주한미군을 주축으로 편성된 유엔사 측에 장성급 회담 개최를 제의하고 미국이 동의하면서 성사됐다. 유엔사와 북한군 장성급 회담은 1998년부터 16차례 개최됐지만 2009년 3월 이후 열리지 않았다.

미군 유해 송환은 6·12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공동성명에 명시돼 있다. 구체적으로 ‘미국과 북한은 신원이 이미 확인된 전쟁포로, 전쟁실종자의 유해를 즉각 송환하는 것을 포함해 전쟁포로, 전쟁실종자의 유해 수습을 약속한다’고 적혀 있다.

미군은 지난달 하순 유해를 북한으로부터 넘겨받는 데 쓰일 나무 상자 100여 개를 판문점으로 이송했다. 이 상자들은 공동경비구역(JSA) 유엔사 경비대 쪽에 보관돼 있다.

이날 회담 후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측 당국자의 발언을 인용, “초기 유해 송환 작업과 관련한 일정한 합의가 이뤄졌다”며 “일부 세부 사항에 대한 조율만 남아 있다”고 전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