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정상회담 무산에 놀란 중국… '시진핑 배후론'에 좌불안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한 뒷배' 자처한 중국, 북미정상회담 무산에 책임론 불가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이 돌연 북미 정상회담을 취소하자 중국은 놀라움을 금치 못하면서 미국이 회담 무산의 책임을 놓고 중국을 정조준할까 봐 좌불안석하는 분위기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수차례 북미 정상회담 준비 과정에 있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과 중국 때문에 순조롭지 못하다며 강력한 경고음을 보낸 바 있기 때문이다.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북미 정상회동으로 가는 결정적인 순간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중국으로 불러들여 논의한 시진핑 주석에게 비난의 화살이 쏠리는 것은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최근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서 '중국 역할론'을 내세우며 김정은 위원장의 든든한 뒷배로 나섰는데 이제는 졸지에 북미 정상회담을 무산시킨 장본인이 될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25일 베이징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지도부는 내달 12일로 예정된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이 트럼프 대통령이 취소 발표로 급제동이 걸리자 긴급 내부 회의를 통해 후속 대응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북한 비핵화와 종전 협정까지는 끼어들지 말라고는 경고를 받았음에도 두 차례 북중 정상회담에 이어 북한 노동당 '친선 참관단'까지 불러들여 경제협력까지 모색하는 등 독자 행보를 보이다가 뜻밖의 상황을 맞이한 터여서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한 소식통은 "중국은 두 차례나 북중 정상회담을 하면서 한반도 비핵화 과정에서 자국의 입지를 넓히려고 했으나 북미 정상회담을 무산시키려는 의도까지는 없었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전격적인 취소 발언으로 크게 당황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베이징(北京)에 이어 다롄(大連)에서 시진핑 주석과 김정은 위원장이 회동하며 북한을 끌어안음으로써 종전선언 등 일련의 추진 과정에서 배제될지 모른다는 우려를 덜고, 자국의 어젠다인 쌍중단(雙中斷·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과 쌍궤병행(雙軌竝行·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 평화협정 협상 병행)을 북중 공동의 전략으로 재확인하는 기회를 가졌다.
결국 이는 북한이 북미 정상회담 준비 과정에서 맥스선더 한미연합 군사훈련에 대해 강력히 비난을 제기하는 등 주요 현안에 강경한 입장으로 선회하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중국이 북미간 갈등을 한층 부추겼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럼에도 지난 23일 워싱턴을 방문한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우리는 비핵화 절차 또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적절한 시기에 북한의 정당한 안보 우려를 다룰 필요가 있다고 믿는다"고 말하는 등 중국은 줄곧 북한을 두둔하는 입장을 보여왔다.
이런 중국을 겨냥해 트럼프 대통령은 22일 백악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시작하기에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두 번째 만난 다음에 태도가 좀 변했다고 생각한다"며 "그것에 대해 기분이 좋다고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지난 21일엔 트위터를 통해 북한과의 비핵화 합의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엄격한 제재를 유지해야 한다며 중국을 압박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미국에 대해 북한이 최근 강경 태도로 돌아선 것이 지난 7∼8일(한국시간) 김 위원장의 2차 방중 결과에 따른 것이라는 이른바 '시진핑 배후론'을 거듭 제기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 정상회담 취소는 앞으로 칼끝이 중국을 겨눌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진창이(金强一) 연변대 교수는 "최근 미국은 북중 관계에 대해 의심하는 발언을 해왔다"면서 "최근 북중 관계가 좋아지면서 (중국이) 한반도 문제에 끼어들려는 제스처를 보여 강력한 경고를 보내는 의미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일현 중국 정법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의 난관에 대해 연달아 중국 배후설과 책임론을 제기한 상황에서 판이 깨졌다"면서 "이 모든 책임의 칼끝이 중국을 겨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 한국, 미국, 북한의 삼자 구도를 깨기 위해 중국이 수면 아래서 작업했던 것에 불쾌감을 표해왔다"면서 "중국으로선 굉장히 곤란한 상황이 됐으며 북미를 중재하기도 모양이 우습게 됐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수차례 북미 정상회담 준비 과정에 있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과 중국 때문에 순조롭지 못하다며 강력한 경고음을 보낸 바 있기 때문이다.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북미 정상회동으로 가는 결정적인 순간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중국으로 불러들여 논의한 시진핑 주석에게 비난의 화살이 쏠리는 것은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최근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서 '중국 역할론'을 내세우며 김정은 위원장의 든든한 뒷배로 나섰는데 이제는 졸지에 북미 정상회담을 무산시킨 장본인이 될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25일 베이징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지도부는 내달 12일로 예정된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이 트럼프 대통령이 취소 발표로 급제동이 걸리자 긴급 내부 회의를 통해 후속 대응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북한 비핵화와 종전 협정까지는 끼어들지 말라고는 경고를 받았음에도 두 차례 북중 정상회담에 이어 북한 노동당 '친선 참관단'까지 불러들여 경제협력까지 모색하는 등 독자 행보를 보이다가 뜻밖의 상황을 맞이한 터여서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한 소식통은 "중국은 두 차례나 북중 정상회담을 하면서 한반도 비핵화 과정에서 자국의 입지를 넓히려고 했으나 북미 정상회담을 무산시키려는 의도까지는 없었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전격적인 취소 발언으로 크게 당황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베이징(北京)에 이어 다롄(大連)에서 시진핑 주석과 김정은 위원장이 회동하며 북한을 끌어안음으로써 종전선언 등 일련의 추진 과정에서 배제될지 모른다는 우려를 덜고, 자국의 어젠다인 쌍중단(雙中斷·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과 쌍궤병행(雙軌竝行·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 평화협정 협상 병행)을 북중 공동의 전략으로 재확인하는 기회를 가졌다.
결국 이는 북한이 북미 정상회담 준비 과정에서 맥스선더 한미연합 군사훈련에 대해 강력히 비난을 제기하는 등 주요 현안에 강경한 입장으로 선회하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중국이 북미간 갈등을 한층 부추겼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럼에도 지난 23일 워싱턴을 방문한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우리는 비핵화 절차 또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적절한 시기에 북한의 정당한 안보 우려를 다룰 필요가 있다고 믿는다"고 말하는 등 중국은 줄곧 북한을 두둔하는 입장을 보여왔다.
이런 중국을 겨냥해 트럼프 대통령은 22일 백악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시작하기에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두 번째 만난 다음에 태도가 좀 변했다고 생각한다"며 "그것에 대해 기분이 좋다고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지난 21일엔 트위터를 통해 북한과의 비핵화 합의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엄격한 제재를 유지해야 한다며 중국을 압박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미국에 대해 북한이 최근 강경 태도로 돌아선 것이 지난 7∼8일(한국시간) 김 위원장의 2차 방중 결과에 따른 것이라는 이른바 '시진핑 배후론'을 거듭 제기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 정상회담 취소는 앞으로 칼끝이 중국을 겨눌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진창이(金强一) 연변대 교수는 "최근 미국은 북중 관계에 대해 의심하는 발언을 해왔다"면서 "최근 북중 관계가 좋아지면서 (중국이) 한반도 문제에 끼어들려는 제스처를 보여 강력한 경고를 보내는 의미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일현 중국 정법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의 난관에 대해 연달아 중국 배후설과 책임론을 제기한 상황에서 판이 깨졌다"면서 "이 모든 책임의 칼끝이 중국을 겨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 한국, 미국, 북한의 삼자 구도를 깨기 위해 중국이 수면 아래서 작업했던 것에 불쾌감을 표해왔다"면서 "중국으로선 굉장히 곤란한 상황이 됐으며 북미를 중재하기도 모양이 우습게 됐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