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복원된 청계천 모습.
2005년 복원된 청계천 모습.
서울시가 시내 국가·지방 복개하천에 대한 전면 복원을 추진 중이라고 1일 밝혔다.

서울시는 최근 ‘복개하천 중심의 하천복원 종합계획 수립용역’이라는 용역을 발주했다. 이미 복원된 홍제천과 공사가 진행 중인 중랑천 등 5개 하천을 제외한 모든 시내 하천을 복원하겠다는 내용이 골자다. 이 중 복개된 25개 하천에 초점을 맞춰 복원공사를 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하천 수질오염의 가장 큰 원인은 복개”라며 “복개하천 복원을 중심으로 하되 복원 타당성 및 가능성을 검토해 복원 우선순위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남대로 인근을 흐르는 반포천 등 완전 복개됐거나 물이 말라 더 이상 하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건천 복원도 검토한다. 하천 복원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청계천처럼' 서울 25개 복개하천 모두 복원 나선다
서울시는 우선 하천마다 여건에 맞춰 복원 유형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각 하천의 역사성과 경관, 수질오염 수준, 공공시설(저류지 등) 등을 검토해 복원 유형을 결정한다. 재정비·재건축 사업계획도 검토 대상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재건축을 위해 추진 중인 지구단위사업계획 등에 반영하는 식으로 하천을 복원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복원 시 가장 큰 걸림돌인 교통혼잡 문제와 대체 도로부지 확보 방안 등도 연구 대상이다. 서울시는 사업의 시급성을 고려해 단기 복원 대상으로 선정된 하천에 대해선 사업 규모와 사업비까지 구상을 마칠 계획이다. 일부 하천은 하천 직선화 이전 수준으로 복원한다는 구상도 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1960~1970년대 산업화로 하천이 직강화되기 이전 구하도를 검토해 소규모 하천의 경우 일부 돌려놓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진홍 중앙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과거 치수 목적으로 직강화를 많이 했지만 지금은 여유 부지가 있으면 옛 물길을 찾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진행 중인 홍제천이나 정릉천 등 하천 복개사업이 지지부진한 이유로 꼽히는 상가 이주대책에 대한 내용이 없어 실현 가능성에 의구심도 제기되고 있다. 최창규 한양대 교수는 “주민 의견을 충분히 반영한 이주대책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며 “이 같은 부분이 빠지면 계획의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교수는 “주택지가 이미 들어온 곳이 대부분이어서 투자비용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복개하천 복원사업의 시범모델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서울시장 재임 기간 진행된 청계천 복원 사업이다. 2005년 당시 ‘복개하천 복원 타당성 조사연구’ 용역 결과에 따라 복개하천인 홍제천, 정릉천, 성북천 등도 복원하고 있다. 하지만 당시 타당성 조사에서 상가 이주대책을 마련하지 않았고, 계획대로 대체도로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여태 공사가 진행 중이다. 복원이 확정된 이들 하천 외에 다른 하천 복원공사는 시작하지도 못한 채 지금까지 무기한 연기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당시 타당성 조사 연구 결과가 나온 이후 10년 넘게 지난 상태”라며 “교통이나 주민요구 사항이 바뀌었을 것으로 보고 새롭게 하천 복원에 대한 타당성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